서울시가 서민경제를 이끌고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제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소기업육성자금’ 을 2,000억원 증액키로 했다.
이번 경제활성화자금 2,000억원 증액으로 2013년도 중소기업육성자금 전체규모는 1조1,400억원으로 확대된다.
서울시가 투입하는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시설자금 1,400억 △재해중소기업 지원 200억 △영세자영업자 지원 300억 △일반자금(경제활성화자금 지원, 창업기업 지원, 일자리창출 지원) 9,290억 △특별자금(사회적기업, 여성고용 우수기업, 국제업무지구 영세상가, 개성공단 입주기업) 210억 등으로 사용되며, 서울시에 사업자등록이 돼 있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면 지원받을 수 있다.
이 자금은 서울시 중소기업육성기금(1,900억)과 시중은행협력자금 (9,500억)으로 조달된다.
특히 이번 계획에선 중소기업육성자금 중 수요가 가장 많아 빨리 소진된 경제활성화 자금을 기업의 가장 필요한 시점인 추석에 맞추어 추가 지원해 서민경제 활성화에 적극 부응하기로 했다.
경제활성화자금은 일반기업이 가장 편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자금으로 시중은행 협력자금을 활용하여 지원하고 있으며 서울시 사업자의 85%를 차지하는 소상공인이 대출의 95%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은 일반자금의 경우 1~2%의 이자차액을 지원해 서울시 시중은행의 평균이자 4.19~5.08%를 감안할 경우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의 은행이자 실제 부담은 3% 내외로 예상된다.
서울시에서는 이번 자금을 추석을 전후해 50%에 해당하는 1,000억을 조기 집행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금 숨통을 틔우고 일자리 창출은 물론 조속한 경기 회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자금 10억원 당 취업유발계수는 13.86으로, 서울시는 이번 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을 통해 15,800개의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참고로, 지난해에는 중소기업육성자금으로 2만8,524건 9,876억원이 지원됐다.
최동윤 서울시 경제진흥실장은 “경기불황으로 자금사정이 어려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자금 및 금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 이라며 “금융소외계층에 저리의 자금지원으로 서민경제가 조기 안정되는데도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융자 지원을 원하는 기업과 소상공인은 서울신용보증재단 각 영업점(대표전화 1577-6119)으로 전화 상담 후 신청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