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9-11-04 14:01:36
기사수정


▲ 국제 원유가격 추이(단위 : 달러/배럴)

10월24일부터 10월31일까지의 국제유가는 OPEC의 10월 생산량 증가와 추가 감산 불확실성으로 인해 하락했다.


한국석유공사 석유동향팀은 1일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을 통해 ‘2019년 10월 5주 주간 국제유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서양 유종인 브렌트(Brent)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1.44달러 하락한 60.23달러를 기록했고,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주보다 배럴당 2.05달러 하락한 54.18달러를 기록했다.


중동 유종인 두바이(Dubai)유는 전주보다 배럴당 0.06달러 상승한 61.10달러를 기록했고, 오만(Oman)유는 전주대비 0.92달러 하락한 61.29달러를 기록했다.


로이터(Reuters) 조사에 따르면 OPEC의 10월 생산이 사우디 생산량 회복 등으로 전월대비 일일 69만배럴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러시아 에너지부 차관은 28일, 추가 감산 여부에 대해 말하기엔 아직 이르다고 발언했으며, 12월 OPEC+회의에서 미국의 최근 석유 생산 증가세 둔화를 고려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10월 4주 미국 원유재고는 당초 시장 예상치인 49만4,000배럴 증가를 상회한 570만2,000배럴 증가를 기록했다.


이는 원유 순수입의 일일 119.6만배럴 증가(수입 일일 84만배럴 증가, 수출 일일 35.6만배럴 감소) 등에 따른 것이며, 쿠싱지역 원유 재고 또한 157만2,000배럴 증가한 것이다.


다만 석유제품재고는 전주대비 792만7,000배럴 감소했다.


나이지리아 석유부 장관은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이 다른 산유국들의 합의가 있다면 추가 감산에 나설 용의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발언했다.


TC Energy사는 자사가 운영하는 Keystone 송유관(일일 59만배럴)이 미국 노스다코타 지역 부근에서 누유현상이 발생해 가동 중단됐다고 밝혔다.


리비아 국영석유회사(NOC) 회장은 27일, 리비아 석유산업 재건을 위해 이집트 국영석유회사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계획이라고 밝혔고, 이집트 국영석유회사를 담당하는 알-물라 장관은 리비아 석유산업 재건 노력 시 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미국 재무부는 30일, 걸프 6개국(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 UAE)과 함께 헤즈볼라와 이란혁명수비대 등의 지원에 연루된 25개 기업, 은행 및 개인에 대한 공동 제재 부과에 합의했다.


부패 청산 및 실업난 해소 등으로 촉발된 이라크 반정부 시위가 지속되고 있으며, 29일 시위 진압 시 이뤄진 발포로 사망자 14명이 발생했다고 알려지는 등 이라크 내 정정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미-중 양국이 1단계 무역합의 서명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던 11월 APEC 회의 개최지인 칠레에서 시위 격화로 개최 포기 선언이 나옴에 따라 합의 서명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대두되고 있다.


다만 미국 백악관과 중국 상무부는 양국 간 합의는 계획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9월 산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5.3% 하락했으며, 10월 공식 제조업PMI가 전월 49.8에서 49.3으로 하락했다.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이 1.9%로 집계돼 2분기 2.0%보다는 하락했으나 예상치인 1.6%는 상회했고, ADP가 발표한 미국의 10월 민간고용은 12.5만건으로 예상치인 11만건을 상회했다.


미국 연준은 29∼3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개최해 올해 들어 3번째 25bp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10월31일 기준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미국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미 달러화 인덱스는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전주대비 약 0.29% 하락해 97.35를 기록했다.


10월24일∼10월31일 싱가포르 석유제품은 휘발유, 등유, 경유 모두 하락했다.


휘발유는 배럴당 0.32달러 하락한 67.06달러, 등유는 배럴당 0.36달러 하락한 75.73달러를 기록했다. 경유는 배럴당 1.11달러 하락한 76.65달러를 기록했다.


10월30일 기준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71만2,000배럴 증가한 1,173만8,000배럴을 기록했고, 중간유분은 37만2,000배럴 증가한 1,120만7,000배럴을 기록했다. 중질제품은 103만8,000배럴 증가한 2,184만7,000배럴을 기록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4069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