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C, 2세대 MOSFET Line up강화
국내최대 개별반도체 업체인 KEC(대표:곽정소)는 현재의 Generation보다 향상된 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고성능 제품의 MOSFET Line up을 확보하게 되었다.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생산 중인 Low voltage Trench MOSFET은 휴대 이동기기와 LCD Back light Inverter, Battery pack 및 DC-DC에 최적화된 solution을 제공하고 있으며, High voltage Planar MOSFET은 LCD, PDP등의 Display Set와 SMPS, Ballast 등에 최적화된 line up을 확보하여 Energy saving을 실현시키고 있다.
Low voltage Trench MOSFET은 0.3um 공정 적용으로 Cell Density를 300Mcell/inch2 ~ 1G cell/inch2로 향상시켰고, short channel/기생저항 감소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KEC 고유의 thick-bottom 구조를 적용하여 Qg/Qgd 특성을 60%이상 개선시켜 Switching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Maximum operation frequency를 증가시키고 SBD/ESD diode를 내장하여 DC-DC의 효율향상과 정전내량 증가를 실현시켰으며, Advanced package 기술이 적용된 new package와 thin wafer 기술을 이용하여 Foot-Print Size와 package 기생저항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파워 용량을 증가시켜 Set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High voltage Planar MOSFET은 신 공정/신 설계 기술이 적용된 구조를 이용하여 Ron 저항을 45% 향상시켰고, Qg 특성을 30% 향상시켜 fast switching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동일 Package에 탑재할 수 있는 maximum current와 전압을 증가시켜 고객이 요구하는 소형, 고전력 Package 제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Spacer self-align이 적용된 기술을 이용하여 소자의 파괴내량을 증가시켰으며, 산포를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고객 circuit의 안정성을 보장하게 되었으며, ESD Diode의 내장으로 정전용량을 증대시켰고, MOSFET에 내장된 diode의 reverse recovery time을 기존보다 1/3 수준 이하로 감소시켜 switching loss를 줄이고, circuit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금번 확보된 2세대 Generation Line-up을 통해 삼성, LG, DELTA, Lite-on, FUNAI, SONY, Hitachi, Sharp 등 국내외 유수 업체 등의 주문을 수주하고 있으며, 특히 Low voltage Trench MOSFET은 금년 내 NOKIA, Motorola 등 휴대 이동기기의 Big maker로부터의 추가 수주가 예상되어 수주량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KEC는 MOS 반도체의 설계 및 제조기술의 지속적인 기술혁신을 완성하여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며, 휴대이동기기용, 디지털 가전기기용에 이어 산업기기용, 자동차용까지 다양한 POWER 개별반도체를 상품화하여 세계 POWER 개별반도체 TOP 10 진입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편집국 기자
2009-08-17
-
서울시, 친환경車 사업으로 미세먼지 930톤 저감
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친환경 자동차 정책이 현격한 대기질 개선이라는 효과를 내고 있다.
시는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줄이고, 서울의 공기를 OECD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 CNG 버스 보급, 경유차에 매연저감장치 부착, LPG엔진개조 등 경유차 저공해 사업을 추진한 결과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 930톤을 저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날 서울시가 밝힌 1월부터 7월까지 서울의 대기중 미세먼지 변화추이를 보면 지난 2002년 88㎍/㎥, 2006년 68㎍/㎥, 2008년 59㎍/㎥, 2009년 58㎍/㎥로 서울의 대기가 매년 깨끗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유차 저공해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한 지난 2005년에는 이 기간 중 미세먼지 농도가 30㎍/㎥이하인 청명한 날이 3일이었으나, 올해에는 10일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시의 대기질 개선사업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시는 자평했다.
이밖에도 시는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자동차 구매시 세제지원 등 각종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7월 출시된 LPi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최대 310만원의 세제혜택과 연간 약 120만원의 차량 유지비 절감효과가 있어,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한편 시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합한 친환경ㆍ고효율 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그린카 보급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오는 2020년까지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 100%를 그린카로 전환할 계획이다.
최연희 기자
2009-08-16
-
누구나, 어디서나, 무엇이든 특허출원
특허청이 기존의 특허넷에 비해 한 차원 더 높은 기능과 보다 더 다양한 출원 형식을 지원하는 3세대 특허넷(G-KIPOnet)을 개발한다.
최근 특허청은 특허법조약(PLT)으로 대표되는 지식재산권 제도 변혁에 안정적 대응, 녹색기술 분야 등에서의 강한 특허 창출 촉진 지원, 글로벌 특허정보화 선도를 위해 3세대 특허넷(G-KIPOnet)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G-KIPOnet’에서의 G는 ‘Green&Global’을 말하는 것으로 정보시스템을 통해 녹색성장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이룩한다는 특허청의 강한 의지가 내포돼 있다.
‘누구나, 어디서나, 어떤 형식이든’을 슬로건으로 하여 개발되는 G-KIPOnet은 △신(新) 특허행정 정보시스템 △ 지식재산(IP) 정보 활용시스템 △ 국제 IP 정보 공유시스템 등 3개 시스템을 기본 골격으로 하고 있다.
이번 특허넷의 특징은 출원인, 기업인, 심사·심판관, 시스템운영에 모두 득이 되는 시스템이라는 점이다. 시스템이 구축될 경우 출원인은 기존에 제한된 형식에 맞춰 전용 PC에서 문서작성 하는 것에서 벗어나 누구나, 어디서나, 어떤 형식이든 특허 출원이 가능해 진다.
기업인에게도 공보 등 단순 IP정보제공과 심사결과 단순 기초 통게정보를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고급 IP 정보 등 전략적 특허경영 촉진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기업인은 권리자 이동 등 이력 정보와 산업분야별 특허기여도 등 고급 통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됐다.
특허넷은 심사․심판관에게 정보량 및 속도 위주의 검색환경과 수작업에 의한 출원 관리를 품질 위주의 신속․정확한 검색환경으로 바꿔 신속․정확한 심사․심판 실현을 돕게 되고 특허넷의 해외 진출시 국가 특성에 따른 맞춤형 수출이 가능해 질것으로 기대된다.
시스템운영 또한 그린 IT 중심의 모듈화, 컴팩트화된 단위시스템 구조로 유지보수를 간편화해 유지보수 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G-KIPOnet 구축 사업은 2012년 개통을 목표로 올해엔 전체준비단계로서 사전 분석 사업이 이뤄지고 뒤이어 설계단계, 구축단계를 거쳐 추진될 예정이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중부발전, 인니 수력발전사업 MOA 체결
한국중부발전(사장 배성기)이 인도네시아에서 수력발전 사업에 진출한다.
중부발전은 지난 6일(현재시각)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대우엔지니어링 및 현지 발전업체 PT MPM과 수력발전사업에 관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중부발전은 수마트라섬 북부에 들어서는 왐푸 수력발전소의 건설관리와 25년간 운영을 책임지게 됐다.
회사에 따르면 왐푸수력발전소는 물길을 완전히 막지 않고 수로를 따로 만들어 발전하게 되는 댐수로식 수력발전방식으로 건설되는 친환경 수력발전소로 연간 20만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해 138만달러의 배출권 판매수익을 낼 수 있는 청정개발체제(CDM) 사업이다.
또한 왐푸수력발전소는 발전기 3기의 총 설비용량이 45MW로 24개월간의 공사기간 동안 미화 1억달러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건설뿐만 아니라 준공 후 25년간 한국중부발전이 운영하게 된다.
발전소가 들어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북부지역은 수력자원이 풍부하여 수력발전에 유리하고, 이 지역의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사업전망이 밝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사업에서 한국중부발전은 건설관리와 발전소 운영업무, 대우엔지니어링은 사업타당성조사와 EPC(설계, 구매, 시공) 업무, PT. MPM사는 부지확보와 각종 인허가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이번 왐푸수력 사업의 인도네시아 현지 파트너사인 PT. MPM은 인도네시아 재계순위 14위인 부카카 그룹의 발전전문기업이다. 현재 전체 용량 1,000MW의 발전설비를 건설, 운영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최대 수력발전사업자로 인도네시아 내 CDM 사업을 선도하고 있다고 중부발전 측은 설명했다.
한국중부발전과 PT. MPM은 이번 사업 외에도 지속적으로 친환경 수력발전사업을 공동으로 개발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중부발전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왐푸수력 발전사업을 통해 CDM사업을 통한 탄소배출권 확보함으로써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여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에 부응하겠다”며 “발전분야의 국내업체와의 동반진출을 통한 고용창출 및 수출증대효과로 국가 경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인도네시아 전력공급능력 확충을 통해 양국의 에너지분야 협력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중부발전은 CDM 확보가 가능한 해외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지난해부터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해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각각 팜오일부산물과 우드칩을 연료로 사용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사업을 개발한 바 있으며, 지난 6월에는 필리핀 벵겟 수력 발전사업을 위한 MOA를 체결하고 발전소 건설을 추진 중이다.
또한 동남아 지역 외에도 남아시아, 중남미 등지에서도 녹색에너지 사업을 개발, 조만간 가시적인 성과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광주시, 친환경車 보급으로 대기질 개선
광주시가 2001년부터 대기질 개선사업으로 추진한 천연가스자동차 보급사업이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006년 이후에는 자동차배출가스로 인한 오존경보가 발령되지 않았으며, 환경관련법령에서 규정하는 아황산가스,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가 국가환경기준 이하로 나타나 대기질 개선 효과도 거두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내년까지 광주지역에서 운행 중인 모든 시내버스, 마을버스 차량을 천연가스(CNG)버스로 교체 완료할 예정”이라며, “추후 광주시의 대기환경은 지금보다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시는 경유시내버스와 마을버스에 대해 지난 2001년부터 2008년 말까지 총 168억 원을 들여 시내버스 713대, 마을버스 27대, 전세버스 5대를 천연가스자동차로 교체한 바 있다.
올해도 7월말 현재 시내버스 81대, 마을버스 4대, 청소차 2대, 전세버스 14대를 보급하고 79대는 12월말까지 교체하는 등 모두 180대를 교체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는 2010년까지는 광주지역 모든 시내버스가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될 예정이다.
시는 천연가스버스 보급과 병행해 운행중인 경유자동차의 엔진개조와 저감장치 부착 보급사업을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시범사업으로 추진해 494대를 보급 완료했다.
올해도 565대를 개조·보급하기 위해 지난 7월말까지 경유자동차 193대의 엔진을 개조하고 212대에 저감장치를 보급했다. 나머지 160대는 올해 말까지 완료한 후 매연저감장치 부착 보급사업을 2010년부터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LS전선, 대학생봉사단 파견
LS전선(대표 구자열)은 국제 구호단체인 굿네이버스와 함께 지난 4일 12일간의 일정으로 인도 남부 타밀나두(Tami Nadu)州 무두말라이(Mudhumalai) 지역에 대학생 봉사단 ‘마음 5기’ 24명을 파견했다.
LS전선 마음 봉사단은 보카푸람 초등학교 200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술, 음악, 체육 등 교육과 코끼리 등 야생동물을 막기 위한 담장 설치, 학교 시설 보수 등의 봉사활동을 한다.
지난 8일에는 영화 관람 시설이 없는 마을 주민들을 위해 학교 운동장에서 인도 영화를 상영해 많은 호응을 받았다. 봉사 마지막 날에는 운동회를 개최하고, 마을 주민들을 초청해 태권무, 탈춤 공연, 사물놀이 등의 문화교류 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LS전선은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대학생들에게 저개발국 어린이들의 열악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2007년부터 인도, 베트남,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등에 연 2회 대학생 봉사단을 파견해왔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KOPEC, 남아공 신규 원전 참여협의
한국전력기술(KOPEC, 대표 안승규)이 남아공 신규 원전 사업 참여를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남아공의 원전 사업 수주를 위해 안승규 사장과 실무진이 직접 남아공을 방문, 현지 관계자들을 만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 4일 회사 측에 따르면 안 사장과 실무진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전력공사 에스콤(ESKOM)의 초청을 받아 지난달 29일부터 지난 3일까지 요하네스버그를 방문했다.
특히 이번 방문은 지난해 전력기술의 발전소 설계기술력에 강한 인상을 받은 브라이언 데임즈 에스콤 수석부사장의 초청에 의한 것으로 안 사장과 실무진은 남아공 공기업 차관보를 만나 발전소 엔지니어링 기술자립 경험을 소개하며 신규 원전 사업 참여방안을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에스콤 측은 남아공 원전 설계 파트너로서뿐만 아니라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사업에도 한국전력기술의 적극적인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총 1난2,000MW 규모의 신규 원전 건설사업을 추진하던 남아공은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자금 문제와 정권교체 등 정치적 이유로 사업을 전격 취소했었다.
그러다 올 초 신정부 출범 이후 신규 원전 건설계획을 에너지 정책의 핵심으로 내세우며 세계 원전 시장의 대어로 부상했다. 이에 요하네스버그에 운영 중인 한전 현지사무소를 중심으로 우리 업계의 적극적이 수주활동이 전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력기술 관계자는 “이번 방문으로 ‘발로 뛰는 해외시장 개척’을 추진하기 시작했다”며 “이달 말 미국 원자력 협력사 방문을 추진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 및 협력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행보를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英 Intelligent Energy, 3,000만 달러 자금 조달
영국의 청정 전력 시스템 선도 기업인 인텔리전트에너지(Intelligent Energy)는 최근 미화 3,000만달러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인텔리전트에너지 측에 따르면 이는 지난 펀딩라운드에 비해 보통주 1주당 불입가격이 상승한 데 따른 것으로 이번 기존과 신규 투자자들로부터 모집한 자금은 대중시장을 겨냥한 연료전지 전력 시스템 상용화의 가속 등 회사의 다음 단계로의 도약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인텔리전트에너지는 자사의 특허 연료전지 기술에 기초한 청정전력 시스템 플랫폼 상품군으로 스코티시 앤 서던 에너지(Scottish & Southern Energy Plc), 스즈키 모터(The Suzuki Motor Corporation) 같은 우량 고객들과의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대중시장을 목표로 할 수 있게 됐다.
헨리 위넌드 인텔리전트에너지 대표는 “주요 업체들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다볼 수 있게 된 현 시점에서, 청정에너지 업계 내에서는 사업 실현가능성이 더 확실히 체감되고 있다”며 “탄탄한 실행성과와 확장성 있는 사업을 확보해 상용화에 이르는 경로를 분명하게 설정한 업체들만이 지금과 같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번 투자는 인텔리전트 에너지가 제휴사들에 지속적으로 뛰어난 상품개발 능력과 현실성 높은 상용화 진전과정을 보였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위넌드 대표는 “우리의 목표 시장은 모두 세계적인 규모의 특기할 만한 성장기회가 있으며, 이번 자금으로 우량 제휴사의 청정연료와 전력 상품을 해당 소비자시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추진함으로써 자사 사업계획의 상용화 단계를 계속 가속화시켜나갈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올 연말에는 이번 펀딩라운드에 이어 기존의 모든 주주를 대상으로 한 공개입찰이 시행될 예정이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美 DOE,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용 자금 조성
미국 에너지부(DOE:Department of Energy)가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에 투입할 정부 자금4,700만달러를 마련했다.
스티븐 추 미국 에너지 비서관은 에너지부가 미국경기부양법(ARRA:American Recovery and Reinvestment Act)에 따라 미국 내 7개 주에서 8개 스마트그리드 데모 프로젝트에 투입할 4,700만 달러 이상의 자금을 준비했다고 밝혔다. 추 비서관은 또 지방 정부의 전기 시스템 긴급 대책을 지원하기 위한 1,050만 달러의 자금 준비도 완료했다고 덧붙였다.
이는 지난 3월 발표된 오바마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 지원계획에 따른 것으로 미 정부는 경기부양법을 통해 스마트그리드에만 총 110억달러를 투입하게 된다.
이와 관련, 미국의 대표적인 전력 회사 듀크에너지는 미 정부의 스마트그리드 지원 방안이 나오기 이전에 이미 3500만달러를 투자한 바 있다. 이 회사는 향후 5년간 1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지만 정부 지원으로 1~2년 안에 프로젝트가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지금의 아날로그 전력망을 디지털로 전환하는 것으로, 전력회사가 집이나 회사에 공급하는 전원 흐름을 통제할 수 있게 돼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어 녹색 성장 전략에 부합하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특히 미국 정부는 경기부양 중 성장 동력원으로 초고속인터넷 인프라 보다 스마트그리드에 보다 많은 예산을 투입하기로 해 향후 이 분야에서 미국의 성장세가 주목된다.
한편 DOE는 지난달 31일 바이오매스, 태양에너지, 풍력, 기타 신재생에너지 분야 약 5,000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평균 60만달러씩 정부 보조금을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전체 규모는 최소 3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부터 시설을 가동했거나 내년까지 건설에 착수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기존의 세금공제혜택 대신 투자비용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번 지원책으로 해당 사업자는 투자비용의 30%까지 지원받게 된다. 미 정부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신규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설치비율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청정에너지발전에 대한 민간자본의 투자 촉진과 일자리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獨 Q-Cells, 2009년 2분기 적자 예상
독일 큐셀(Q-Cells)이 2009년 2분기 실적전망을 발표했다.
매출은 약 1억4,200만유로로, 이자지급전/세금제외전 손익(EBIT)는 6,200만유로 규모의 적자 전환을 예상했다. 매출감소의 요인으로, 판매량 감소와 대형 프로젝트의 실시 연기, 태양전지 가격 하락세의 지속 등을 들었다.
EBIT에 대해서는, 장기화 되고 있는 세계 태양전지 시장의 침체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큐셀은 2008년 12월, 2009년 연간 실적에 대해 매출 17억5,000만에서 22억5,000만유로의 전망을 발표한 바 있지만, 향후 시황이 불투명해 신뢰성이 있는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이 실적전망치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호주 야당, ‘CO₂ 10%저감’ 대체안
호주 야당인 보수연합 등은 지난 10일 이산화탄소(CO₂) 등 온실가스 저감 대체안을 제시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호주 정부는 오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5%의 무조건 저감을 진행한다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보수연합 등은 온실가스의 10%를 저감한다는 계획을 책정한 것이다.야당이 우세한 상원에서 협의가 진행되고 있어 이를 가지고 정부안에 맞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호주 정부는 외국이 확고한 배출저감 정책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온실가스를 25%까지 저감할 것이라고 공언하고 있으나 무조건적인 배출량 저감폭은 5%에 머무르고 있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프렉스에어, 산요와 신규 공급계약 체결
프렉스에어가 산요에 벌크 아르곤과 질소를 공급하는 신규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프렉스에어는 미국 오리건주 세일럼 지역에 건설 중인 산요의 태양전지 제조공장에 산업용 가스를 공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프렉스에어 전자사업부문의 Mark Murphy 사장은 “프렉스에어는 현재 전 세계 40여개 태양광 발전 부품·소재업체에 각종 산업용가스와 스퍼터링 타깃(sputtering target)을 공급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요의 태양전지 공장은 올해 10월에 부분 가동에 들어가며, 양산체제를 갖추게 되는 낸년 4월부터는 연간 70㎿ 규모의 태양전지 잉곳과 웨이퍼를 생산·공급한다. 이에 따라 이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산요는 미국 내에서만 약 100㎿의 생산능력을 갖추게 된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中, 해외자원 선점에 ‘혈안’
중국 에너지기업들이 아르헨티나와 호주에서 해외자원 인수 야욕을 보이고 있다.
지난 11일 다우존스통신에 따르면, 페트로차이나의 모회사인 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와 중국해양석유공사(CNOOC)가 함께 렙솔-YPF 인수를 위해 170억달러 이상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이 인수건은 중국의 해외투자규모 가운데 가장 큰 금액이다.
지난달 2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CNPC가 170억달러를 들여 렙솔-YPF 인수에 나섰다고 보도한데 이어 7일에도 75% 지분 인수를 위해 140억달러 가량을 제시했다고 전하며 렙솔-YPF 지분 매각 추진 사실을 보도했다.
CNPC는 재작년 두 번이나 렙솔-YPF를 인수하려다 실패한 전력을 갖고 있다.
스페인 회사인 렙솔은 지난 1999년 134억달러를 들여 YPF를 매입했고 지금은 84%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렙솔-YPF는 아르헨티나 최대 석유생산업체로 나라 전체 생산량의 37%를 담당하고 있다.
한편, 같은 날인 11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호주 언론 보도를 인용해, 중국의 옌저우석탄이 호주의 광산업체인 펠릭스 지분 100%를 37억호주달러(미화 약 31억달러)에 인수하는 최종합의를 눈앞에 뒀다고 보도했다. 옌저우석탄은 지난해부터 펠릭스 인수에 눈독을 들이고 있었다.
호주의 시드니모닝헤럴드에 따르면, 엔저우석탄이 펠릭스측에 제시할 인수금액은 현 시가총액에 비해 18% 비싼 것이다. 이번 매매가 성사되려면 펠릭스 주주총회와 호주 정부의 승인을 거쳐야 하며, 옌저우석탄도 중국에서 인수승인절차를 밟아야 한다.
양국간 투자는 5월까지만해도 매우 활발해 중국이 호주에 투자한 금액은 5개월간 120억달러가 넘을 정도였다. 이는 지난해 중국이 호주에 투자한 규모의 4배에 가깝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에어리퀴드, 사우디 기업 M&A
에어리퀴드가 석유화학산업과 SOC 건설산업 호황으로 산업용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중동시장에 공격적인 M&A로 본격 진출했다.
에어리퀴드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의 산업용 가스 기업인 Al Khafrah Industrial Gases(AKIG)社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에어리퀴드는 AKIG의 지분 75%를 인수해 경영권을 확보했으며, 사명을 Air Liquide Al Khafrah Industrial Gases로 바꾸고 본격적인 영업에 돌입했다.
에어리퀴드의 Pierre Dufour 수석 부사장은 “이번 인수는 주요 신흥시장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를 단행하는 경영전략의 일환”이라며, “지난해 인수한 Pure Helium社와 함께 AKIG社는 사우디를 포함한 중독지역 산업용가스 시장에서 에어리퀴드의 위상을 한층 강화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에 에어리퀴드에 인수된 AKIG社는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리야드, 담맘 등의 사업장을 갖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약 2,000만 달러를 기록한 중견 산업용 가스 기업이다.
편집국 기자
2009-08-16
-
佛 폴리실리콘 기업 Silpro, 청산절차
프랑스 알프드오트프로방스 지방 마노스크 상업법정은 최근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프로방스 실리콘(SilPro: Silicium de Provence SAS)에 대한 청산명령 재판을 열었다.
SilPro는 고전력 태양전지용 고순도 실리콘 생산을 추진 중이었다.
계획을 입안한 관계자는 “회사가 생산할 고품질 실리콘 청크가 모든 주조와 웨이퍼링 공정에 사용돼 태양전지 효율을 최고도로 끌어올릴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플랜트는 알프 드 오트 프로방스의 샤토 아노 생 오방에 2007년 건설을 시작, 2010년부터 최초 연간 4,500톤 이상의 실리콘을 생산할 계획이었으며 이후에는 연간 9,000톤까지 생산량을 늘려 잡았었다.
그러나 법원의 이번 결정으로 SilPro의 야심찬 계획은 끝내 빛을 보지 못하게 됐다.
최초 Econcern과 Photon Power Technologies, Norsun에 의해 설립된 SilPro는, 현재 Econcern과 Solon의 합작벤처(JV)인 SOL홀딩, Photon Power Technologies의 자회사 Photon Power Industries, Electricite de France SA와 Norsun이 반식 지분을 가지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회사 EDF Energies Nouvelles 등이 각각 그 지분을 분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주주들은 금융관계자, 투자자들과 광범위한 협상을 벌였지만 정해진 기한 안에 SilPro의 장기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은 이미 지난 4월 7일 Silpro가 자금 문제로 행정절차에 들어갔다는 발표에서 예견된 것이었다.
또 주요 지분 참여자인 EDF Energies Nouvelles는 올 해 상반기 실적 발표에서 Silpro와 관련, 2,020만 유로의 자금지원을 했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Solon SE 또한 SilPro의 부실로 인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편집국 기자
2009-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