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배종인 신소재경제 기자[日 FC EXPO 2018 참관기②]
- 수소사회 ‘현실화’,
무한한 新 시장 창출
일본의 수소사회는 더 이상 특별한 것이 없어진 일상이 됐다. 가정용 수소연료전지는 일본 전역...
- 2018-03-13
-
- 주승환 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KAMUG) 회장[스위스 루체른 AM 엑스포 참관기]
- 한계 없는 메탈 3D프린팅, 양산기술로 자리매김 중
스위스 루체른 메세에서 3D프린팅 전문가를 위한 전시회 및 컨퍼런스가 지난 3월6과 7일 양...
- 2018-03-13
-
- 고봉길 신소재경제 대표[日 FC EXPO 2018 참관기①]
- 수소경제시대 도래, 韓 ‘패싱’ 막기 위한 노력 절실
||이제 수소경제시대는 정부의 보급 정책이 아닌 민간 비즈니스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4년말 토...
- 2018-03-06
-
- [참관기]주승환 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K-AMUG) 회장
- 3D프린팅 제조공정 적용 활발한 중국, 추격도 힘들다
||중국 항공과학산업과 하얼빈 인민정부의 주최로 지난 1월5일부터 ‘중국 하얼빈 항공 3D 프린팅 국제회...
- 2018-01-19
-
- 엄지용 자동차부품연구원 선임연구원/공학박사[2018년 신년특집]
- “무인이동체 동력원의 핵심 Li-S전지가 뜬다”
||현재 무인이동체(항공, 자동차, 선박 및 로봇 등)를 위한 친환경적 고성능·고효율 동력원 기술은 기존의 화석...
- 2018-01-15
-
- 이찬기 고등기술연구원 신소재공정센터 융합소재공정팀 수석연구원/공학박사[2018년 신년특집]
- “선순환적인 자원 회수로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
||최근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사회 전반적으로 매우 뜨겁다. 현 정부의 기조를 차치하고서라도 세계 각국...
- 2018-01-15
-
- 이병극 ㈜캐리마 대표[2018년 신년특집]
- 3D프린팅 시장 확대, 저가 경쟁 아닌 서비스 경쟁에 달렸다
||현재 다양한 3D프린팅 방식 중 대다수의 특허가 만료되며 최근 다양한 제조업체들이 3D프린팅 시장...
- 2018-01-08
-
- 주승환 한국적층제조사용자(KAMUG) 협회 회장[2018년 신년특집]
- 韓 3D프린팅 지속 발전, 주력산업 고도화 달렸다
||우리나라에서 2014년 이후 수많은 정책 추진을 통해 수천억에 달하는 정부 예산이 투입 됐지만 아직도 산업이...
- 2018-01-08
-
- 조진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나노융합PD[2018년 신년특집]
- “혁신을 이끄는 나노의 길”
||정부 주도의 나노융합산업 육성정책이 시작된 지도 어언 17년이 지나고 있다.
정부가 미래혁신성장 및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 2018-01-05
-
- [특별대담]국내 3D프린팅산업 발전을 위한 폼넥스트(Formnext) 2017 현장 간담회
- 세계는 적층가공 양산화 돌입, 韓 장기플랜·수요기업 지원·육성 시급하다
||■이번 전시회의 특징과 적층제조의 미래를 어떻게 전망하는지
▷신충식:3D프린...
- 2017-11-29
-
- [참관기]주승환 한국적층제조사용자협회(K-AMUG) 회장
- 적층제조시대, 3D프린팅 저가·대형·소재 다양·자동화 급물살
||TCT 주최로 지난 2015년부터 매해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리고 있는 폼넥스트(Formnext)는 미국의 래...
- 2017-11-17
-
- 정동철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원장
- 전북 전주 탄소산업 발자취 JEC ASIA서 확인하길
||인류는 석기, 청동기, 철기시대를 거쳐 왔다. 산업이 고도화 되면서 새로운 미래를 가져다 줄 신소재가 필요하...
- 2017-10-26
-
- 배종인 신소재경제 기자[세미콘타이완 2017 참관기②]
- ‘세미콘타이완’, ‘靜中動’ 대만 전자산업 대변
||본지 기자는 취재 시에 노트북을 휴대할 상황이 수시로 발생한다. 이에 가볍고도 성능이 좋은 제품을 선...
- 2017-10-10
-
- 고봉길 신소재경제 대표[세미콘타이완 2017 참관기①]
- 韓 반도체, 세계 시장 호령 ‘눈앞’
||지난 12일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첨단 공정 로드맵에 11나노 신규 공정(11LPP, Low Power Plus)을 추가하며, 2018년 상반기에 11LPP ...
- 2017-09-19
-
- 김형섭 포스텍 고엔트로피합금연구단 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 고엔트로피합금, 극한환경용 미래 소재시대 연다
||수천 년 전부터 최근까지도, 인간이 사용해온 전통적인 소재는 철, 구리, 알루미늄, 마그네슘, 티타늄 등이 ...
- 2017-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