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차 부품산업 육성 논의한다
배종인 기자
2014-09-12
-
[신제품]TI, 700V 스위처 ‘UCC28880’ 출시
김은경 기자
2014-09-12
-
LGD, ‘원형 플라스틱 OLED’ 양산 돌입
김성겸 기자
2014-09-04
-
자동차부품재제조 컨퍼런스 및 전시회
김은경 기자
2014-09-04
-
자원순환경제, 재제조산업이 이끈다
김은경 기자
2014-09-02
-
산업교육硏, 전력반도체·스마트센서 세미나
IoT(사물인터넷)시대의 핵심부품으로 떠오르고 있는 전력반도체와 스마트센서의 기술 및 상용화 제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산업교육연구소(www.kiei.com)는 오는 9월18일과 19일 양일간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회관에서 ‘융합부품 및 IoT 상용화를 위한 전력반도체/스마트센서 기술개발과 적용사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GaN(질화갈륨), SiC(탄화규소)를 기반으로 한 국내외 전력반도체 산업의 최신 기술분석과 개발동향 및 기술이슈를 비롯해 레이더, 바이오·의료용, 압력, 인식, 영상, 적외선 스마트센서 등 핵심 스마트센서 응용분야별 기술 동향과 응용제품 등 정보를 심도있게 논의하게 된다.
18일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전력반도체 산업 최신분석과 각 소자별 기술개발동향 및 참여 기업체 현황 △600V 이하 저전력분야 영역의 모스펫(MOSFET) 기술개발동향과 발전전망 △600V 이상, 1200V 중전 이머징 마켓의 키 디바이스가 되는 IGBT 및 High Voltage MOSFET 기술개발동향과 발전전망 △GaN기반 전력반도체 기술개발동향 및 발전전망과 핵심과제 △SiC 기반 전력반도체 기술개발동향 및 발전전망과 핵심과제 △GaN 단결정 기술개발동향과 응용분야 및 주요이슈 △SiC 단결정 기술개발동향과 응용분야 및 주요이슈 △스마트카용 전력반도체 기술개발동향과 응용분야 및 주요이슈 △신재생/대체에너지용 전력반도체 기술개발동향과 응용분야 및 주요이슈 등의 주제가 발표된다.
19일에는 △스마트센서 기술개발동향과 응용분야 및 주요이슈 △레이더 스마트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제품 △바이오, 의료용 스마트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제품 △압력 스마트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제품 △관성 스마트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동향 △스마트 인식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제품 △영상 스마트센서의 진화와 응용사례 △적외선 스마트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제품 △스마트기반 MEMS/MEMS 콤보센서 원리 및 연구, 기술개발현황과 응용제품 등이 발표된다.
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최근들어 전력을 변환, 저장, 분배, 제어하는 핵심부품인 전력반도체와 모든 사물에 붙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스마트센서가 큰 화두가 되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학계, 산업계 및 연구소의 많은 분들이 융합부품과 사물인터넷의 핵심인 전력반도체 및 스마트센서 기술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결실 있는 정보교환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kiei.com) 또는 전화 (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14-09-02
-
LG디스플레이, 광저우 LCD 패널 공장 가동 시작
김은경 기자
2014-09-01
-
ASML코리아, ‘캠퍼스 리쿠르팅’ 개최
반도체 노광 장비분야 세계 1위 업체인 ASML코리아는 오는 9월 말 하반기 공개채용에 앞서 전국 8개 주요 대학에서 ‘ASML 캠퍼스 리쿠르팅’ 행사를 실시한다고 1일 밝혔다.
ASML은 네덜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외국계 반도체 장비 회사로,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반드시 필요한 노광 공정 분야의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ASML코리아는 국내 반도체 제조사에 설치된 노광 장비의 성능 유지를 위한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56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번 ASML 캠퍼스 리쿠르팅은 9월2일 서울대를 시작으로 서강대(9월23일), 한양대(9월30일), 고려대(10월1일), 연세대(10월2일), 한국기술교육대(10월6일), 명지대(10월7일), 광운대(10월8일)에서 차례로 열린다.
ASML의 인사담당자와 각 학교 출신 선배 입사자가 방문해 기업현황과 차별화된 복리후생제도 및 자기계발 기회 등을 설명하고 질의응답 시간을 갖는다. 해당 학교 학생이 아니어도 누구나 참가할 수 있으며, 자세한 일정은 ASML 페이스북 (www.facebook.com/ASMLKR)에서 확인하면 된다.
ASML은 이번 캠퍼스 리쿠르팅 참여가 어려운 예비 지원자를 위해 온라인 채용설명회도 진행할 계획이다. 취업 커뮤니티인 다음카페 ‘취업뽀개기’에서 9월29일부터 1주일간 진행하며, 10월3일에는 인사담당자와 실시간으로 질의응답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ASML은 기존의 전형적인 취업 행사에서 벗어나, ASML을 소개하는 웹툰과 대학교를 찾아가는 스쿨 어택 등의 이색적인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ASML 관계자는 “국내 반도체 산업의 발전과 함께 ASML코리아도 성장함에 따라 매년 신규 채용 인원을 늘어나 이번 하반기에는 40여명을 선발할 예정”이라며, “한국 반도체 시장을 이끌어 갈 인재들이 이번 ASML캠퍼스 리쿠르팅에 많은 관심을 갖고 참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ASML은 오는 9월29일부터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을 실시한다. 모집분야는 장비 엔지니어 (CS Engineer)와 필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 (Field Application Engineer)이다.
김은경 기자
2014-09-01
-
[신제품]코그넥스, 3D 레이저 변위 센서 출시
김은경 기자
2014-08-29
-
도시바, 車·통신·모터 제어 IC 역량 강화
도시바가 자동차·통신·모터 제어 분야에 대한 IC 역량 확대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전망이다.
도시바가 29일 ‘혼합 신호 IC 제품 전략’ 발표를 통해 자동차·통신·모터 제어 등 3개 분야의 어플리케이션을 목표로 제품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친환경자동차에 대한 수요 확대에 따라 자동차 반도체 환경 역시 급변하는 상황을 맞으면서 안전하고 편안한 운전을 구현하는 방법으로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바는 HEV·EV·ADAS와 자동차제어 및 안전운전을 위한 LSI(대규모 집적회로) 제품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TMPV75 시리즈’를 기반으로 시장을 주도해나갈 예정이다. 올해 출시된 TMPV75 시리즈는 전력 소비 대비 이미지 프로세싱 성능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2020년까지 시장 점유율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향후에는 TMPV75 시리즈를 중심으로 한 센서 모듈(CMOS 센서, ApP PlusTM 통합 모듈)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외에 도시바는 ASSP 라인업을 확대를 통해 판매를 증대하고 소비자·산업·자동차용 제품을 위한 엔지니어링 자산을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일본 외 유럽 시장점유율을 높이고자 유럽 내 ASIC 개발 디자인을 강화할 계획이다.
통신분야에서 도시바는 근거리 통신 및 근거리 무선 기술은 블루투스 연결 및 고감도 수신성, 변형 방지 성능 등 탁월한 성능에 기반해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위한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에 고도의 보안성을 자랑하는 보호기술과 더불어 근거리 통신(NFC) 분야에서 이미 시장 점유율 70%를 확보한 통신 품질·성능을 내세워 글로벌 시장확대와 시장점유율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근거리 무선(블루투스) 분야의 경우, 세계에서 전력소모량이 가장 낮은(6.1mA) 블루투스 로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IC를 개발한 바 있는 도시바는 초저전력 소모(3mA) 제품을 개발해 M2M 및 의료 시장점유율을 제고할 계획이다.
모터제어 부문에서 도시바는 첨단 아날로그 프로세스(0.13 μm)를 적용한 오리지널 프로세스로 고효율 및 저전력 소모로 요약되는 열 물성(thermal property)에 대한 탁월한 기술력을 유지하는 한편 시장에 새로운 표준(PMA, A4WP) 제품 및 15W 클래스 제품 출시를 통해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 제품, 무선 도구 분야 수요확대에 따라 성장중인 무선 전원 공급 부문 역량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한편, 가전 기기·측류·산업 등 3개 분야를 특화하고 2016년 일반 라인업을 더 확대함으로써 매출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또 가전 기기 분야에서 소자 부문과 협력을 확대해 일본 포함, 해외 제조사에 대한 SIP 제품 판매를 끌어올릴 방침이다.
또한 도시바는 유사 사인파 전류 드라이브 기술을 통해 단상 드라이버 시장의 점유율을 제고할 계획이며, 3상 드라이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산업 분야에서는 첨단 BiCD0.13μm+80V 아날로그 공정으로 유니폴라(unipolar) 모터를 위한 고부가 저비용 모터 드라이버를 개발,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마이크로컴퓨터 시장은 가전 인버터, 산업용 인버터, 로봇, 의료 부문 수요에 힘입어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시장 확대에 대응해 도시바는 시스템 성능 향상과 벡터 제어 프로세서를 활용한 저전력 소모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ApP 라이트(ApP LiteTM)와 로드맵을 단일화해 확대되는 시장에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김성겸 기자
2014-08-29
-
델파이 ESR, 車 백만대 장착
김은경 기자
2014-08-28
-
LG이노텍, 無희토류 車 DCT용 모터 개발
김은경 기자
2014-08-28
-
도시바, 다기능 모터제어 MCU 출시
김성겸 기자
2014-08-28
-
울산市, 전기차 부품 인프라 300억 국비예산요청
배종인 기자
2014-08-27
-
[신제품]KLA-Tencor, 5D™ 패터닝 제어 출시
김은경 기자
2014-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