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1월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624GWh, 전년비 42%↑
신근순 기자
2024-01-09
-
산업교육硏,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세미나 개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이 커지면서 국내외 기업들이 치열한 선점 경쟁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관련 생태계 구축과 기술개발 동향 및 사업화를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된다.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1월26일 ‘2024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기술·시장이슈 및 전망과 사업전략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유통 및 해결과제와 완결적 순환체계를 위한 정책방향을 시작으로 2024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연구·기술개발 현주소와 개발방향을 비롯하여 2024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생태계 추진방향과 실제 추진하고 있는 사용 후 배터리 사업현황뿐만 아니라 전기차 폐배터리 양극소재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 건식 신공정 기술개발동향 등 정보를 공유한다.이날 세미나 주제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유통과 해결과제 △2024년 국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사용-회수-생산으로 이어지는 완결적 순환체계(Closed Loop)를 위한 정책 방향 △2024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제조/재사용/재활용 연구·기술개발 현주소와 개발방향 △2024년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생태계 추진방향 △새빗켐社의 실제 추진하고 있는 사용 후 배터리 사업현황 △전기차 폐배터리 양극소재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 건식 신공정 기술개발 동향과 기대효과 등이다.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2024년 제반 트렌드와 연구기술 개발 방향은 물론 향후 산업 추이를 전망할 뿐만 아니라 성공사례 및 사업화 사례를 공유하는 행사로서 관계되시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편집국 기자
2024-01-05
-
㈜씨아이에스케미칼, 산업부 사업재편 승인기업 선정
신근순 기자
2023-12-21
-
KTC,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기관 지정
신근순 기자
2023-12-21
-
정부, 사용후 배터리 전주기 표준화 추진
유혜리 기자
2023-12-20
-
LG화학, 2조 투자 美 테네시 양극재 공장 착공
유혜리 기자
2023-12-20
-
코스모신소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시제품 생산
유혜리 기자
2023-12-19
-
제주도 보관 중 폐배터리 재활용 유가금속 회수
유혜리 기자
2023-12-19
-
세미나허브, 실무자 위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기술 세미나
미국, EU 등 주요국들이 탄소중립 달성의 일환으로 폐자원 순환 정책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날로 성장하고 있는 폐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실무자의 이해를 높일 집중교육 세미나가 열린다.세미나허브는 ‘실무자를 위한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기술 집중교육 세미나’를 오는 2024년 1월10일 서울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SNE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 폐차 대수는 2025년 56만대, 2035년 1,784만대, 2040년 4,277만대 등으로 증가할 전망이고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 역시 매년 증가해 오는 2025년 208억달러, 2040년 2,089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리서치앤마켓스닷컴은 지난 4월 보고서에서 전 세계 블랙매스(배터리 셀을 분쇄한 가루에 양극재와 음극재가 혼재된 것) 재활용 시장 규모는 지난해 92억 2,051만달러(12.2조원)에서 2031년 529억870만 달러(약 70조원)로 약 6배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내년부터 전기차 1세대의 폐배터리가 대량으로 쌓이게 되는데 폐배터리를 분해하면 전극 소재, 코발트, 리튬, 니켈 등 고가 소재를 추출할 수 있기에 재활용 가치가 매우 높다. 향후 수년 안에 다수의 경쟁사가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진입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성장과 혁신도 촉진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 세미나의 오전 세션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손정수 박사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필요성 △폐배터리 재활용 현황 △폐배터리 화재 및 폭발 원인과 대응 방안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물리적 처리기술 △배터리 재활용 신기술에 대해 발표한다.오후 세션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홍인 센터장이 △블랙매스 침출 기술 △침출액 내 불순물 제거 공정 △침출액 내 유가금속 분리정제 기술 △리튬 회수 및 폐수 처리 기술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세미나허브 관계자는 “수명이 다한 배터리가 쏟아지는 시기가 곧 다가오고, 세계 주요국들의 환경규제로 인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는 시점에 이번 세미나를 통해 대한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본 세미나의 유료 사전 등록은 1월5일까지이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세미나허브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88-6488)로 문의하면 된다.
편집국 기자
2023-12-15
-
성균관대·경희대, 리튬이온전지 성능 UP 희생양극소재 개발
유혜리 기자
2023-12-14
-
산업부, 전기차 충전기 산업 육성··· 30년 세계 점유율 10%
유혜리 기자
2023-12-13
-
정부, 이차전지 산업 全분야 38조 정책금융 지원
유혜리 기자
2023-12-13
-
지질연, LFP 폐배터리 친환경 재활용 기술 개발
신근순 기자
2023-12-11
-
비츠로셀, 이차전지 소재 개발 투자 확대
신근순 기자
2023-12-07
-
1~10월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44%↑
유혜리 기자
2023-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