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미나허브, ’25년 배터리 산업전망 및 차세대 배터리 세미나 개최
글로벌 각 국의 친환경 지원정책에 따라 전기차(EV)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올해 전기차 배터리 산업과 차세대 배터리 기술 및 시장을 전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세미나허브가 주최하고 배터리다이브와 아이씨엔이 후원하는 ‘2025년 배터리 산업 전망 및 핵심 이슈와 차세대 배터리 세미나’가 오는 2025년 2월13일과 14일 양일간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된다. 전기차 시장은 2022년에 60%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전기차 캐즘으로 인해 지난해에는 30%, 올해에는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내년까지 수요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도 있으나 이차전지 산업 관계자들은 최근의 부진은 급격한 성장으로 인한 성장통일 뿐이며, 친환경 정책에 따라 전기차로의 전환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또한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 안전성 및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이 지속 진행되고 있고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메탈전지의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2월13일에는 배터리 산업 및 핵심 이슈를 주제로 △2025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 및 주요 이슈 △트럼프 2기에 따른 한국의 이차전지 산업 대응 방안 △배터리 활용성 증대를 위한 국내 BaaS 사업 전략 △EV용 양극재 개발 기술과 차세대 양극재 기술 동향 △리튬 인산철(LFP) 산업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시장동향 △고용량·고출력 배터리의 핵심 탄소나노튜브(CNT) 도전재 △전기차용 배터리 열폭주 대응 안정성 소재 개발 방안 △배터리 안전성 진단을 위한 혁신 EIS-BMS 기술 전망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2월14일에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이슈를 주제로 △전기차 ‘캐즘’, K-배터리 위기와 대응 전략 △차세대 배터리 산업 전망 및 업체 동향 △차세대 전기차 전고체전지 기술 트랜드 및 향후 전망 △리튬 메탈 배터리 기술개발 동향 △차세대 고성능 실리콘 음극재 기술 동향 △고에너지밀도 미래항공교통수단용 리튬황전지 개발 동향 △친환경 배터리 수계아연 이차전지 기술 개발 동향 △나트륨이온전지 기술 현황 및 발전 전망 등이 발표될 예정이다. 세미나허브 관계자는 “차세대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리튬메탈전지와 전고체 배터리 등 최신 기술개발 동향뿐만 아니라 2025년 EV 배터리 산업에 대한 전망과 이슈를 심도 있게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세미나의 유료 사전 등록은 2월5일까지 가능하며,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미나허브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88-6488)로 문의하면 된다.
신근순 기자
2025-01-07
-
1~11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전년比 26%↑
김민석 기자
2025-01-07
-
‘25년 친환경차, 소비·취득세 감면 혜택 연장
김민석 기자
2025-01-07
-
1~11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26%↑
김민석 기자
2025-01-06
-
산업교육硏, NCM·LFP 배터리 소재 및 장·단점 분석 세미나 개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NCM(니켈·코발트·망간)과 LFP(리튬·철·인산염) 배터리의 주도권 다툼이 본격화되고 국내 기업들이 LFP 배터리 개발과 양산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가운데 관련 소재 기술개발 방향과 장·단점을 분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1월9일에 ‘리튬이온배터리 주도권- NCM vs LFP 배터리 소재 기술의 대결 기준 장·단점 분석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날 세미나 주제는 △NCM(A), NCA 등 삼원계 양극재 소재 기술개발과 생산공정/주요 이슈 및 장·단점 분석 △LFP(리튬인산철) 양극재의 제조공정 기술개발과 주요 이슈 및 장ㆍ단점 분석과 전망 △리튬이온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에 대한 NCM vs LFP 비교 분석 및 세부 단계 이해와 열폭주 현상 조기 감지의 문제점과 해결책 제시 등이다.산업교육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를 통하여 각 배터리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고, 기업들이 자사에 적합한 배터리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또는 전화(02-2025-1333~7)로 문의하면 된다.
편집국
2025-01-03
-
삼천리EV, 김용욱 대표이사 선임
김민석 기자
2025-01-03
-
韓 LFP 배터리 고품질 특허 확대, 미래 도약 발판 마련
김민석 기자
2025-01-02
-
LG엔솔, 美 엑셀시오 에너지 캐피탈 ESS 배터리 공급
김민석 기자
2024-12-20
-
KTC, 전기차 충전기 업계 기술간담회 개최
김민석 기자
2024-12-12
-
1~10월 非中 전기차 인도량, 전년比 6%↑
김민석 기자
2024-12-11
-
이석희 SK온 대표, “배터리 성능 개선위한 R&D 집중”
김민석 기자
2024-12-11
-
SK온, 품질경영 업그레이드·신뢰성 확보
김민석 기자
2024-12-11
-
1~10월 非中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比 13%↑
김민석 기자
2024-12-11
-
연세대-LG엔솔, 실리콘 음극재 성능개선 기술 개발
김민석 기자
2024-12-10
-
1~10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전년比 24%↑
김민석 기자
2024-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