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유영숙)가 오는 17일부터 정수장 시설기준에 대한 안전 및 보안을 강화하는 내용의 개정된 수도법(시행령·시행규칙)을 시행한다.
개정된 법안에는 취수장이나 정수장에 유해 미생물이나 화학물질이 투입되는 것에 대비하는 한편, 외부침입으로부터 안전한 상수도시설 유지를 위해 CCTV 설치를 의무화 하는 등 관련 기준을 강화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일반수도사업자는 취수장의 시설용량이 10,000㎥/일 이상인 경우 취·정수장에 원수를 측정하는 생물감시장치*를 설치하고 정수지 및 배수지에 수소이온농도(pH), 잔류염소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수질자동측정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아울러 상수도 시설에 대한 외부침투에 대비하기 위해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설비 등 감시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인구 30만 명 이상의 도시지역은 재해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해 재해 대비 급수시설을 설치토록 의무화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도시설에 대한 안전 및 보안을 위한 시설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국민들에게 보다 안전하게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됐으며, 대정전, 지진 등 운반급수가 불가능할 경우에 대비해 최소한의 음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사전대비를 하는 계기가 됐다”고 이번 수도법 개정의 의의를 밝혔다
이외의 개정된 수도법령의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기후에 대비해 가뭄 등 비상시에 농림수산식품부 장관과 협의해 그간 원수로 사용이 불가능 하던 농어촌용수를 원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환경부 고시로 운영되던 ‘정수처리기준 등에 관한 규정’ 중 정수처리 기준, 주기, 절차 등을 시행규칙에 담아 법적 근거를 보다 명확히 했다.
또 수도정비기본계획 승인 및 지방상수도 인가권을 유역환경청장에게 위임해 승인 및 인가 후 이행사항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토록 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