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10곳 중 6곳은 하반기 국내 경기가 지금보다 더 나빠져 ‘상저하저(上低下低)’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전국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기상황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하반기 경기 전망에 대해 응답기업의 59.0%가 ‘지금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과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은 각각 21.6%, 19.4%에 그쳤다.
최근 국내경기 상황에 대해서도 ‘계속 둔화중’ 56.3%, ‘둔화세는 진정되고 정체된 상황’39.5% 등 대부분의 기업이 부정적인 의견을 보인 반면, ‘회복중’이라는 응답은 4.2%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유럽발 재정위기가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정체를 보이면서 올해 하반기 경기에 대한 기업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국내경기의 최저점으로는 많은 기업들이 4분기(27.4%)를 꼽았고 이어 3분기(24.6%), 내년 이후(21.6%) 등을 예상했다.
경기 불안요소를 묻는 질문에 대내적 요인으로는 내수부진(33.5%), 물가불안(25.0%), 수출둔화(16.9%), 가계부채(12.5%), 부동산시장 침체(5.6%) 등을 차례로 꼽았고 대외적 요인으로는 유럽 재정위기(57.9%), 유가 및 원자재가 상승(32.7%), 미국경제 회복 여부(6.2%), 중국 등 신흥국 경기 둔화(2.0%) 등의 순으로 답했다.
최근 경영애로로는 원자재가 부담(30.6%), 판매부진(28.8%), 수익성 악화(25.2%), 경쟁심화(6.9%), 자금조달(3.5%) 등을 연이어 답했고 향후 경영상 고민거리는 수요 감소(33.5%), 원자재 안정적 수급(22.0%), 신규 수익원 확보(13.7%), 임금·원자재 등 비용 부담(8.9%)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회복을 위해 정부가 역점을 두어야 할 과제로 유가·원자재가 안정(7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물가안정(42.7%), 가계부채 등 내수 불안요인 안정(36.1%), 투자 촉진(35.4%), 수출 촉진(21.2%), 급격한 경제정책/제도 변화 지양’(18.5%)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전수봉 대한상의 조사 1본부장은 “최근 유럽 재정위기 확산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현재 잠복해 있는 물가불안에 대한 우려도 있어 부진한 수출과 내수가 더 위축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경기가 본격적인 회복세가 나타날 때까지는 정부가 대내외 불안요인을 잘 관리하고 기업 활력이 떨어지지 않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