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가전·車·문화컨텐츠·그린E 5대 산업 주력
■ 일반현황
전라남도 중앙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있는 광역시다. 북동쪽으로 담양군, 북쪽으로 장성군, 서쪽으로 함평군, 남쪽으로 나주시, 남동쪽으로 화순군에 접해 있다. 서울·부산·대구·인천·대전에 이어 국내 6위를 차지하는 대도시며, 호남지방 최대의 도시다.
면적 501.25㎢, 인구 146만8,000명(2010년)이다.
2011년 현재 행정구분은 5개 자치구, 93개 행정동으로 이뤄져 있다.
■ 지리·지형
동쪽의 산간부와 서쪽 평야부의 경계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에 진산인 무등산이 그 지맥과 지봉인 장원봉·양림산·성거산 등과 함께 시가지를 둘러싸고, 그 가운데에 광주분지를 형성한다. 서쪽은 비교적 낮은 구릉에 의해 비옥한 전남평야와 연접하고 있다. 무등산 골짜기서 발원해 시가를 관류하는 광주천은 서북쪽으로 흐르다가 서부경계지대에서 극락강과 합류하고, 장성군에서 흘러내리는 황룡강과 만나 다시 영산강으로 흘러든다. 그밖에도 동계천·서방천·용봉천·석곡천 등이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시역을 흐른다.
산지지역과 평야지대의 접촉지에 자리함으로써 군사·행정·교역상 좋은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1914년에 개통된 호남선이 광주시를 피해 영산강 서안을 따라 부설되자 한국의 경제중심권과 떨어져 제조업이 발달하지 못했다.
그러나 예로부터 호남지방의 행정·군사·경제·사회·문화의 중심지를 이뤄 온 기반으로 해서 행정 및 기업관리기능이 집중돼 있을 뿐만 아니라, 넓은 호남평야의 곡창지대와 임해공업지대 및 수산업 지역을 배후지로 가지고 있어 호남경제권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굳히고 있다.
또 광주를 중심으로 화순·담양·장성·나주 등 반경 30km 안의 지역이 1일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을 뿐 아니라, 2007년도에는 광역시 중 3번째로 수출 100억불 도시를 달성한 이후 2010년에는 수출 115억불을 달성하는 등 소비도시에서 생산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다.
■ 기후
광주의 기후는 한반도의 남서부에 위치하므로 비교적 한서의 차가 작아 온화하다.
1971~2000년 연평균기온은 13.5℃, 연평균 최고기온 18.8℃, 연평균 최저기온 9.1℃로 이 기간 동안 연평균기온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1월 평균기온 0.4℃, 8월 평균기온 26.0℃이며, 연강수량은 1,368.0mm이고 습도는 72%이다. 1980~2004년의 균쾌청일수 73.2일, 강수일 124.6일, 강설일수 29일로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
■ 지역내 조성된 산업단지는(기업수 현황 등)
본촌산단/93만7,000㎡ 분양율 100% 조성완료, 송암산단/39만4,000㎡ 분양율 100% 조성완료, 하남산단/596만7,000㎡ 분양율 100% 조성완료, 소촌산단/18만9,000㎡ 분양율 100% 조성완료, 소촌농공/32만4,000㎡ 분양율 100% 조성완료, 평동산단 1·2차/387만1,000㎡ 분양율 100% 조성완료, 평동외국인투자지역/109만4,000㎡ 분양율 95.8% 조성완료, 첨단산단 1단계 793만1,000㎡ 분양율 94.2% 조성완료
■ 집중 유치하고 있는 산업군이나 기업은
광주광역시는 5대 주력산업으로 광산업, 가전,자동차,문화컨텐츠,그린에너지 산업 등을 집중유치하고 있다.
2013~2018년 진곡·빛그린 등 4개 산단 분양 예정
수도권社 이전시 5년간 면제 이후 2년간 50% 감면
■ 지역 내에 공장건설, 사옥 이전 및 건설을 희망하는 기업에게 주는 혜택은
◇국내기업
-수도권 이전기업 지역전략 선도 특화업종 신증설 기업 보조금 지원
지원대상은 수도권 이전기업(3년 이상 사업영위, 상시고용인원 30인 이상, 지역전략 선도 특화업종은 10인 이상)
지역전략 선도 특화업종 신증설기업(상시고용인원 10인 이상, 투자액 10억원 이상)
-지원기준
입지지원 : 분양(매입)가의 45%내(지역전략 등 신증설기업 20%내), 설비투자지원 설비투자액의 15%내, 교육훈련지원은 최초 보조금 신청일로부터 투자완료일까지 신규고용인원 1인당 360만원 이내
-비수도권 이전기업 기타 신 증설기업 지원
지원대상은 투자금액 20억원 이상, 상시고용인원 20인 이상, 상시고용인원 50인 이상, 투자금액 15억원 이상, 상시고용인원 15인 이상 벤처 이노비즈 인증기업, 투자금액 10억원 이상, 상시고용인원 10인 이상 본사 또는 연구소 문화산업 등
-지원기준
입지지원은 분양(매입)가의 20%내, 설비투자지원은 20억원 초과 설비투자액의 5%내, 벤처, 이노비WM는 15억원, 본사 연구소 문화산업은 10억원 초과시 지원, 교육훈련지원은 신규고용인원 20인초과 1인당 월 60만원 이내
◇외국기업
외국인 투자비율이 30%이상이거나 외국인이 제1대 주주인 경우 △투자금액 20억원 이상 상시고용인원 20명 이상 △상시고용인원 50명 이상 △투자금액 15억원 이상 상시고용인원 15명이상 벤처 이노비즈 인증기업 등 △투자금액 10억원 이상 상시고용인원 10명이상인 본사 또는 연구소 문화산업 등
-지원기준
입지지원은 분약가액(매입가액)의 20% 이내, 설비투자지원은 20억원 초과 설비투자액의 5% 이내, 고용지원은 신규채용인원 20명 초과 1인당 월 60만원 12월 범위내, 교육훈련지원은 신규채용인원 20명 초과 1인당 월 60만원 6월 범위내, 지역선택지원 : 100만달러 이상 투자기업 외투기업 총액의 10%이내(기업당 2억원 한도)
-임대부지 지원(평동외국인투자지역)
고도기술수반사업 1백만달러 이상 투자기업 임대료 면제, 일반제조업 500만달러 이상 투자기업 임대료 75% 감면
-국내·외기업 공통사항
대규모특별기업지원은 투자금액 500억원(미화 5천만달러)이상이거나 상시고용인원 300명 이상, 컨설팅지원은 실제 소용비용 범위 안에서 총 투자금액의 100분의 5이내(1억원 한도)
■ 특별한 기업지원 프로그램은
자금지원은 기술개발자금, 시설개선자금, 경영안정자금, 신용보증지원(광주시, 중소기업진흥공단, 광주중소기업지원센터 등 11개 기관 1조5,529억원)
기술지원은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시험생산 인증지원(한국광기술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광주테크포파크 등 14개 기관)
인력지원은 기술인력양성, 고용촉진지원금 고용알선 지원(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광주노동청 등 21개 기관)
마케팅지원은 국내외 판로개척 네트워크 구축 전시회 참가 지원(한국광산업진흥회, 한국금형산업진흥회, 한국무역협회 등 13개 기관)
지역선택지원은 100만달러 이상 투자기업 외투기업 총액의 10% 이내(기업당 2억원 한도)
■조성을 추진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산업단지는
분양 예정산단은 1개/206만1,000㎡/첨단2단계 2012년 분양.
조성중인 산단은 4개/1,102만3,000㎡ (2013~2018년도 분양 예정, 진곡산단, 첨단3지구, 평동산단 3차, 빛그린산단)
■최근 3년간 기업 유치 및 지원성과
협약체결 총249개 기업(국내 200개 기업 외국 49개 기업)으로 3조3,217억원, 고용계획인원 1만8,410여명.
실투자 89개기업(투자액 4,335억원), 지원성과(보조금지원)는 30개기업 186억5,000만원(국내 27개 161억원, 국외 3개 기업 25억5,000만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