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수요를 예측해 물 공급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다.
LS산전과 한국수자원공사는 수도사업장 에너지 효율화 사업의 일환으로 ‘광역상수도 최적운영기술 공동 기술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양사가 공동 개발하는 이 기술은 펌프장 운영에 드는 물 사용량을 예측해 전기요금이 싼 시간대에 물을 최대한 채워놓고 요금이 비싼 시간에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수요 예측은 △평일·주말 △날씨별(최고·최저기온, 강수량, 습도, 풍량, 적설량 등) △지역별(주거지·공업지·상업지) △특이일(명절) 등으로 세분화해 이뤄진다. 이를 통해 산출된 용수 수요량을 기반으로 각 수용가에 필요한 △용수 공급량 △관압 △정수지 및 배수지 포함 △펌프 운전대수 스케줄을 생성한다.
또한 실시간 펌프성능시스템을 이용해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펌프 조합을 찾아 경제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한 시스템을 상용화 개발할 예정이다.
이로써 △수요예측 △최적운영기술 △실시간 펌프성능시스템 △이를 종합 감시하는 감시제어시스템으로 기술을 구성해 2013년 한수원 보령권 관리단에 실제 적용·운영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 기술을 개발·적용하는 보령사업장의 경우 연간 700MWh의 전력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 광역상수도로 확대 계산하면 총 7만MWh로, 매년 전기요금 50억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에너지 절감을 통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연간 약3만3,000톤 줄여 소나무 천만 그루를 심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S산전 손창희 팀장은 “한수원은 이미 LS산전의 컨트롤러를 도입해 펌프 제어 자동화를 추진해왔다”며 “이번 공동 기술개발로 최적화 시스템을 각 컨트롤러와 연계시켜 취수장, 배수지, 정수장 내에 설치된 모든 펌프를 계획된 스케줄에 의해 제어할 수 있는 수 운영센터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원 배상식 처장은 “취수장부터 정수장, 가압장, 배수지 말단까지의 전체 계통상에서, 수요예측 기반의 펌프장 최적 운영기술을 확보해 세계 최고 수준의 용수공급 운영기술을 확보할 것”이라며 “전력을 많이 소비하는 펌프 운영에서도 획기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만큼 기술 개발 이후 한수원의 수도사업장 및 지방 상수도 시장에 확대 보급하고, 해외 사업기회 발굴 및 동반진출도 타진하겠다”고 말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