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조선사들이 해양 플랜트·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보유한 기술력과 건조능력을 바탕으로 올해 수주 목표를 588억달러로 설정했다.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와 한국조선협회는 15일 지난해 국내 조선사가 750만CGT(300억달러)를 수주해 전세계 수주 1위(수주량 35%점유)를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올해 국내 10개 주요 조선사가 지난해 목표인 540억달러 보다 9% 증가한 588억달러를 수주목표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세계경기 침체로 인한 해운시장 불황 지속, 선박금융위축으로 선주들의 자금조달 어려움, 2005~2008년 조선호황기 이후 선박과잉공급의 영향으로 2012년 전세계 선박발주량은 전년대비 36.8% 감소한 2,130만CGT를 기록했다.
발주량은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건조량은 기 계약된 일정에 의해 인도가 진행돼 지난해 말 수주잔량(9,290만CGT)은 전년대비 28% 감소했다.
선박과잉공급 및 선박발주수요 감소로 신조(新造)선가지수도 지속 하락해 2008년 8월 최고점인 190 대비 33.7% 하락한 125.9(2012년 11월말 기준) 기록했다.
지난해 국내 조선사는 750만CGT를 수주(전년대비 45.7% 감소)해, 전세계 발주량의 35%를 차지하며 작년에 이어 수주량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금액기준으로 국내 수주규모는 300억달러에 달하며, 이는 수주량 2위인 중국(710만CGT, 154.5억달러)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국내조선소가 해양플랜트,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우위가 있음을 증명했다.
지난해에 국내 조선소는 전세계 2척씩 발주된 LNG-FPSO, FPSO를 1척씩 수주(LNG-FPSO 1척(약7억7,000달러), FPSO 1척(약20억달러))하고, LNG-FSRU 4척(약12억달러)을 전량 수주했다.
세계 LNG선의 73%(24척, 약49억달러), 드릴쉽의 67%(26척, 약93억달러)를 수주하는 등 해양플랜트 및 고부가 선박분야도 좋은 성과를 거뒀다.
건조량 및 수주잔량에 있어서는 수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국내 조선소가 기 계약된 일정에 의해 선박을 건조함에 따라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15.8% 감소한 1,360만CGT가 건조됐다.
또한 수주량과 건조량 변화를 반영해 지난해 말 수주잔량은 전년대비 26.3% 감소한 28.5백만CGT를 기록했다.
지난해 선박 수출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불황기에 수주한 선박들이 인도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수출선가 및 물량이 하락해 전년대비 29.8% 감소한 397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올해도 세계경기 회복여부에 대한 불확실성, 선박 과잉공급 등으로 상선시장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조선업은 발주 증가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다만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로 해양자원개발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됨에 따라 해양플랜트, LNG선 등 고부가선박의 지속적인 발주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국내 조선사는 해양 플랜트·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에 보유한 기술력과 건조능력을 바탕으로 올해 수주 목표를 588억달러로 설정했다.
특히 올해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STX조선해양 등 대형 조선 4개사는 총 수주목표 486억불 중 해양플랜트가 약 272억불(약56%)에 달하는 등 해양플랜트가 국내수주를 견인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더불어 올해 국내 조선소의 수출은 405억불에 달해 지난해 2%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