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 회의실에서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을 비롯한 최길선 플랜트산업협회장, 이재균 해외건설협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3차 비상경제대책회의’가 열렸다.
지식경제부는 이 자리에서 플랜트업계 및 수출지원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플랜트 수출 확대 및 경쟁력 제고 방안’을 보고했다.
국내 플랜트산업은 외화가득액 규모가 반도체 산업에 버금가는 등 경제성장의 핵심동력 중 하나로 부상했으며, 오일쇼크, 외환위기시에는 중동 오일머니 등 외화를 벌어들여 위기극복에 기여했다.
지난 2004년 이후 해외플랜트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외플랜트 수주(’04~’08)는 연평균 50%이상 증가해 일반상품 수출증가율(연평균 13%)을 크게 능가했다. 하지만 올 상반기에는 글로벌 금융경색, 유가하락으로 세계 플랜트시장이 위축됨에 따라 플랜트 수주는 전년대비 67% 급감한 74억불에 그치고 말았다.
지난 2007년 플랜트 수주액 중 국제금융 조달이 50.5%(201억불)를 차지하였으나, 세계 금융경색으로 프로젝트 파이낸싱 규모가 787억불(’08.상)에서 358억불(‘09.상)으로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Calyon 등 국제금융기관에서의 금융 조달이 일시적으로 곤란해 올해 상반기 우리 기업의 국제금융 조달비중이 21.8%(16억불)로 급감하는 등 국내 무역금융 확대 등을 통한 보완이 시급한 상황이다.
지경부는 중장기적으로 플랜트 금융공급 확대와 핵심기술 개발 등을 통해 세계 5대 플랜트강국 진입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우선 2012년까지 수주액 700억불, 시장점유율 8% 및 외화가득률 37%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올 하반기 전세계 플랜트 발주 예상규모 4,300억불 중 우리기업의 수주 추진중인 프로젝트(460억불 규모)에 대한 적극적인 금융지원 등 수주지원노력을 통해, 330억불을 추가 수주해 올해 전체로는 전년대비 13% 감소한 400억불 전후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지경부는 올 하반기 프로젝트(330억불)중 수주가 가능하나, 공급자금융 부담이 필요한 82억불(10.6조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시장조사, 정보제공, 상담, 마케팅 등 시장개척 단계별 지원 강화 및 공기업 동반진출, 시장접근 애로 해소 등 효율적 시장접근전략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중소 기자재업체의 R&D 및 안정적 판로 확보를 위한 구매조건부 기술개발(’09, 390억원) 및 협력펀드 조성(정부:대기업=2:1) 확대 등을 통해 플랜트 외화가득률을 적극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성장가능성이 높은 플랜트 6대 분야(Oil&Gas, 담수, 원전, 화력발전, 석탄가스화복합발전, 해양)를 선정, 올해부터 2019년까지 로드맵 수립 및 전략적 기술개발 집중 지원 추진한다.
플랜트업계가 필요로 하는 연 2,500명의 고급 기술인력에 대한 체계적인 핵심기술인력 양성기반 구축한다. 플랜트 수주·이행상의 애로해소 및 지원 전략을 효율적으로 총괄할 수 있도록 지경부와 국토부가 각각 운영하고 있는 수주지원협의회를 오는 10월부터는 ‘플랜트 지원협의회’로 통합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