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3-05-03 18:22:10
기사수정

▲ 최근 3년산 산업가스 53社 경영실적 (정렬순서 : 2012년 매출액 순, 단위 : 억원, %).

국내 산업가스 53社는 지난해 총매출 4조8,635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8% 증가한 실적이다.

같은기간 영업이익은 4,026억원으로 9.1% 감소했고 순이익은 3,220억원으로 7.8% 줄었다.

산업가스업계는 지난해 반도체, LCD, LED, 태양전지, 조선 등 전방산업의 경기침체와 제품공급과잉에 따른 경쟁심화로 어려운 한해를 보냈다. 유례없는 전기료 상승으로 인해 제품원가가 크게 올랐지만 상당수의 기업이 이를 판매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면서 실속있는 경영을 하지 못했다.

■ 기업별 실적

◇ 에어프로덕츠코리아


에어프로덕츠코리아는 전년 대비 6.8% 늘어난 4,86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업계 매출 1위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99억원으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고 순이익은 702억원으로 전년 대비 12.4% 감소했다.

회사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경쟁심화로 대형 수요처 등에 단가인상이 어려운 상황에서 전기요금이 급격히 오르는 등 원가상승으로 인해 실적이 좋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 에어리퀴드코리아

에어리퀴드코리아는 4,37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 대비 50.4%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76억원으로 전년 대비 16.8% 증가를 기록했고 순이익은 286억원으로 전년 대비 26.3%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완전자회사인 에어리퀴드여수(옛:에이치플러스에스지에스)를 2011년 11월30일 합병한데 따른 것이다. 에어리퀴드여수는 고부가 제품인 일산화탄소(CO)를 생산하고 있다. 합병으로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 대성산업가스

대성산업가스는 4,042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3.8%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7.7% 줄었고 순이익은 151억원으로 전년 대비 45.6% 감소했다.

이 같은 실적은 특수가스부문이 전년도와 비슷한 실적을 보였고 기타 부문인 건물, 장비 임대부문이 전년 대비 증대한 실적을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벌크부문 매출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 프렉스에어코리아

프렉스에어코리아는 2,71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8.4%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487억원으로 전년 대비 11.9% 증가했고 순이익은 563억원으로 전년 대비 14.6% 증가를 나타냈다.

이 같은 실적 개선은 화성공장 및 탕정공장의 신증설을 통한 초고순도 질소 공급과 수소 및 헬륨 공급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신규 거래처 확보를 통한 사업확장이 가시화된데 따른 것이다.

◇ OCI머티리얼즈

OCI머티리얼즈는 전년 대비 14.1% 줄어든 2,54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532억원으로 전년 대비 45.7% 줄었고 순이익은 307억원으로 전년 대비 54.3% 감소했다.

이 같은 실적 악화에 대해 주력제품인 NF₃(삼불화질소)가 공급과잉과 단가경쟁 심화를 겪었고 태양광산업 불황으로 인해 SiH₄(모노실란)의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회사는 최근 생산에 돌입한 Si₂H₆(디실란) 등 품목확대로 실적개선을 꾀하고 있다.

◇ 동성화인텍

지난 3월 동성그룹 편입에 따라 사명일 바꾼 동성화인텍은 2,39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34.8%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55억원으로 전년 적자에서 흑자전환 됐고 순이익도 101억원으로 흑자전환 됐다.

◇ 덕양

덕양은 2,25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4.7%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11억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고 순이익은 91억2,000만원을 달성해 전년 대비 25.5% 증가를 기록했다.

덕양의 이 같은 실적 개선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생산시설 증설에 따른 매출 증대와 소폭의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 증대 때문이라고 밝혔다.

◇ 후성

C₄F₆(육불화부타디엔), WF₆(육불화텅스텐), NF₃(삼불화질소) 등 불소화합물 전문 생산기업인 후성은 2,15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9.3%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46억2,000만원의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 됐고 순이익은 18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3.3% 증가를 나타냈다.

이 같은 실적에 대해 후성은 시장 침체에 따른 매출 감소가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더불어 영업손익 적자에도 불구하고 360억원이 넘는 기타수익의 증가로 순이익은 늘었다고 밝혔다.

◇ SPG케미칼

SPG케미칼은 2,051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 대비 34.6%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94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7.8% 증가했고 순이익도 76억2,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8.1% 증가했다.

◇ 린데코리아

린데코리아는 전년 대비 16.1% 증가한 1,96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42억원으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고 순이익은 88억6,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7.8% 증가했다.

이 같은 실적은 외화환산이익이 전년 대비 14배 이상 증가한 29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외 비용이 200억원 가까이 절감됐기 때문이다.

◇ 엔케이

엔케이는 1,9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 대비 0.2%의 감소를 기록했다.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각각 30억7,000만원과 73억5,000만원 손실을 기록해 모두 적자전환 됐다.

이 같은 실적 저조에 대해 엔케이는 장기매출채권 대손 설정으로 인한 영업이익 감소 때문이라고 밝혔다.

◇ 한텍

한텍은 1,51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7.4%의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각각 54억6,000만원과 138억원 손실을 기록해 모두 적자지속을 나타냈다.

영업손실 증가는 대손상각비와 지급수수료 증가 때문이며 순손실 증가는 환차익 감소 등 영업외수익 감소와 이자비용 증가 등 영업외비용이 늘어난데 따른 것이다.

◇ KE&P

KE&P는 1,25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4%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3.7% 감소한 68억8,000만원이고 순손익은 전년 대비 45.8% 감소한 45억7,000만원을 기록했다.

최근 케이이앤피는 높은 기술력과 과감한 투자를 바탕으로 미래 먹거리사업으로 점찍은 티타늄 튜브(Titanium Tube)에 이어 스테인리스 무계목강관(STS Seamless) 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그린에어

그린에어는 1,210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1.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83억원으로 전년 대비 48.1% 증가했고 순이익은 207억원으로 전년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 원익머트리얼즈

원익머트리얼즈는 1,101억원의 매출을 달성해 전년 대비 22.3%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235억원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고 순이익은 1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6.8% 증가했다.

이와 같은 견조한 실적에 대해 회사측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방산업의 성장과 함께 제품 가짓수와 판매량 확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디실란(Si₂H₆:반도체 확산 및 CVD 공정에 사용) 수요량이 늘고 하반기 들어 일산화질소(NO: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열처리 공정에 사용) 판매가 증가한 것이 매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제품생산과 판매가 늘어나면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이익이 개선됐다.

◇ 솔베이케미칼

솔베이케미칼은 932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68.2%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영업손익과 순손익은 각각 24억6,000만원과 41억4,000만원 적자를 기록해 전년도에 이어 적자지속을 나타냈다.

◇ 광신기계공업

광신기계공업은 82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38.4%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29억원으로 전년 대비 17.1% 증가했고 순이익은 11억6,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4.9% 감소했다.

◇ 칸토덴카

칸토덴카는 전년 대비 3.2% 증가한 777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29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감소했고 순이익은 17억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5.9% 감소했다.

◇ 에쎈테크

에쎈테크는 76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7.7%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9억9,000만원으로 흑자전환된 반면 순손익은 56억2,000만원 적자로 적자지속을 보였다.

◇ PSG

PSG는 759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3.0%의 증가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33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0.6% 감소했고 순이익은 29억8,000만원으로 42.3% 감소했다.

◇ 한국메티슨특수가스

한국메티슨특수가스는 63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4.5%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42억6,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71.8% 증가한 반면 순손이익은 9억4,300만원으로 적자지속을 나타냈다.

◇ 태경화학

태경화학은 535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4.9%의 증가를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62억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6.8% 줄었고 순이익은 64억3,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8.3% 감소했다.

◇ MS가스

MS가스는 전년 대비 1.0% 감소한 51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대비 각각 18.3%, 22.7% 감소한 16억9,000만원과 10억3,000만원을 올렸다.

◇ 경인화학산업

경인화학산업은 전년 대비 9.2% 증가한 43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26억2,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1.7% 증가했고 순이익은 24억2,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0.0% 늘었다.

◇ 대웅시티

대웅시티는 42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25.4%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1억1,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46.2% 증가했고 순이익은 26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52.5% 늘었다.

◇ 엔케이텍

엔케이텍은 417억원의 매출을 올리는데 그쳐 전년 대비 53.0%의 매출 감소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2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3.5% 감소했고 순이익은 6억4,700만원으로 전년 대비 85.7%나 줄었다.

◇ 선도화학

선도화학은 332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0.4%의 매출 증가를 이뤘다.

영업이익은 5억6,900만원으로 전년도 적자에서 흑자전환 됐고 순이익은 8억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272.8% 증가를 달성했다.

◇ SKC에어가스

SKC에어가스는 33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13.6%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64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5.9% 증가했고 순이익은 73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87.8%나 증가했다.

◇ 대유코아

대유코아는 282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0.6%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34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7.7% 줄었고 순이익은 42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85.0% 감소했다.

◇ 데크

데크는 278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0.1%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3.2% 증가한 8억9,500만원을 올렸고 순이익은 18억원을 기록해 전년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 한국소화화학품

한국소화화학품은 27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21.6%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21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8% 증가했고 순이익은 22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73,8% 늘었다.

◇ 코리아에어텍

코리아에어텍은 25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1.2%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8억5,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고 순이익은 3억5,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0.3% 줄었다.

◇ 에스디지

에스디지는 전년 대비 68.2% 늘어난 24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15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2.1%나 증가했고 순이익은 10억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40.1%나 증가했다.

이같은 실적 개선은 설비 증설에 따른 매출 증대에 따른 것이다.

◇ 영도산업

영도산업은 전년 대비 3.1% 감소한 23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5% 감소한 7억8,500만원을 달성했고 순이익은 전년 대비 39.6% 줄어든 7억7,600만원을 올렸다.

◇ 신일

신일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23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5억5,400만원과 1억4,300만원으로 모두 흑자전환 됐다.

◇ 동덕산업가스

동덕산업가스는 23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7.6%의 감소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9억3,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7.9% 감소했고 순이익은 2억1,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3.1% 줄었다.

◇ 선도산업

선도산업은 22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0.1% 감소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12억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5% 감소했고 순이익은 15억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5.1% 줄었다.

◇ 동해가스산업

동해가스산업는 219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7억4,700만원을 올려 전년 대비 9.2% 감소했고 순이익은 5억9,800만원을 올려 전년 대비 15% 줄었다.

◇ MS종합가스

MS종합가스는 217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8.2%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억5,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9.9% 증가했고 순이익은 5억1,300만원으로 전년 대비 5.7% 늘었다.

◇ SPG산업

SPG산업은 204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2%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1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6.3% 증가를 기록했고 순이익은 12억7,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94.4% 늘었다.

SPG산업 관계자는 “SPG산업의 일부 중부권의 영업을 SPG케미칼이 담당하고 있어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발표됐다”며 “SPG케미칼이 담당하고 있는 일부 중부권의 매출을 포함하면 실제 전체 매출은 증가했다”고 밝혔다.

◇ 스미세이케미칼

스미세이케미칼은 19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2%의 감소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억8,300만원으로 전년 대비 80.3% 줄었고 순이익은 8억1,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4.1% 감소했다.

◇ 가스켐테크놀로지

가스켐테크놀로지는 181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8.9% 감소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8억1,6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9.4% 감소했고 순이익은 5억9,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2.2% 줄었다.

◇ 한유케미칼

한유케미칼은 181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1%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34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0% 증가했고 순이익은 26억6,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3% 늘었다.

◇ 신창

신창은 15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8%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억8,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89.9% 증가했고 순이익은 3,700만원으로 흑자전환 됐다.

◇ 코아텍

코아텍은 15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의 매출 감소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28억2,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60.8% 증가했고 순이익은 8억5,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5.7% 감소했다.

◇ 유진화학

유진화학은 153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2.4%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5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3.1% 줄었고 순이익은 14억5,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 대홍테크뉴

대홍테크뉴는 143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6.6%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40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고 순이익은 10억9,000만원으로 전년 적자에서 흑자전환 됐다.

◇ 창신화학

창신화학은 139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14억5,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4.5% 감소했고 순이익은 11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1.4% 줄었다.

◇ MS이엔지

MS이엔지는 11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5.5% 증가를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1억6,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1% 감소했고 순이익은 1억2,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39.1% 증가했다.

◇ 동진크로텍

동진크로텍은 84억8,000만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5%의 매출 감소를 나타냈다.

영업이익은 16억2,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102.0% 증가했고 순이익은 17억8,000만원으로 전년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섰다.

◇ 동광화학

동광화학은 82억7,000만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 대비 10.5%의 증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4억1,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고 순이익은 5억600만원으로 30.5% 줄었다.

◇ 하이프레실

하이프레실은 77억4,0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 대비 58% 감소한 실적이다.

영업손익은 12억8,000만원, 순손익은 8억3,900만원 손실을 기록해 모두 적자전환 됐다.

◇ 신비오켐

신비오켐은 7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8% 증가한 실적이다.

영업이익은 20억9,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3% 감소했고 순이익은 15억6,000만원으로 27.1% 줄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141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