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가 지역기업 지원 시스템을 개선해 지원성과를 제고한다.
산업부는 지역기업지원서비스사업 추진체제 전 과정을 지역산업·기업 수요 맞춤형으로 개편한다고 6일 밝혔다.
이에 개편안은 5월부터 지역사업 중 2단계(2012년부터 2014년까지) 광역선도 비R&D사업에 우선 적용될 계획이다.
개편안이 시행될 경우 △기업 지원성과 제고 △사업 참여 장애요인 제거 △절차간소화를 통해 기업부담을 대폭 완화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단계 광역선도 비R&D사업(2012년 예산 324억원)에 우선 적용하게 될 개편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첫 번째로 지역사업수행기관(테크노파크 등) 역할을 지역기업 간접지원(중개기능)에서 직접지원으로 전환하고, 참여요건을 강화해 기관 수를 현재 170개에서 100개 내외로 축소·조정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예산 운용체계 강화해 기관 흡수예산(인건비 등)을 줄이고, 기업지원 비율을 전체예산의 70%수준까지 확대(현행 52%)해 직접 기업지원예산을 약 60억원 증가(167억원에서 228억원)시키고, 우수성과 과제·기관에 대해서는 차년도 예산에서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했다.
세 번째로 관리체계를 대폭 간소화한다. 이에 제출서류를 현행 14종에서 2∼3종으로 축소하고, 페이퍼리스 평가제를 도입해 발표평가에서 Q&A 평가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한 전년도 평가 과정에서 우수성과 과제로 선정될 경우에는 현장점검이나 년차평가를 면제해주는 ‘평가 Pass제’도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의 역할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 5월부터 지역 내 핵심 기술혁신지원기관인 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은 지역사업 기획·컨설팅·성과모니터링 등 지역기업 지원의 全 과정에서 총괄적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업지원단’ 고유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역 내 기술혁신 자원 간 비즈니스 중개기능(컨택센터 확대)과 비R&D 수행관리 등의 플랫폼 기능으로 특화시킬 계획이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