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창조, 혁신, 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와 시장,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로 경제운영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에 민·관이 손을 잡았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경제5단체는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민관의 실질적 소통·협력 체계로서 창조경제 민관협의체를 구성·운영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합의문을 24일 발표했다.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과 손경식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한덕수 한국무역협회 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이희범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 부회장 등 경제5단체장은 24일 서울 서초구 반포동 JW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된 조찬간담회에서, 우리 경제의 질적 성장을 위해 창조경제 중심의 경제운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며,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민간의 주도적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데 공감했다.
또한, 창조경제와 관련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경제단체 및 경제계의 추진현황 등에 대해 논의하는 과정에서 정부와 민간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한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해서는 일회성이 아닌 주기적 소통·협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민관협의체를 구성·운영하기로 합의했다.
합의문에 대해 경제단체장들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관계가 필요하다”며, “정부의 창조경제 관련 정책 수립 시 경제단체를 통해 기업인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법·제도 개선 사항을 제언할 수 있는 소통 채널이 마련된 것”을 환영했다.
한편, 창조경제 민관협의체는 미래부장관과 경제5단체장으로 구성된 창조경제 민관협의회와 협의회의 운영을 지원하는 실무협의회로 구성·운영될 예정이다.
협의회는 원칙적으로 분기별 1회 회의를 개최하되 필요시 수시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으며, 민관 공동협력 과제 발굴 및 추진과 창조경제문화의 확산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