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가치 지재권 확보, 기술간 융복합 확산 등 급증하는 산학연 협력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특별위원회가 구성된다.
국가지식재산위원회(공동위원장 정홍원, 윤종용)는 지속적인 기술혁신과 미래가치 창출을 통한 창조경제 구현을 위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지난해 12월 마련한 ‘민간 산학연 협력연구 가이드라인’이 현장에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산·학·연·관 19명의 전문인사로 ‘민간 산학연 협력연구 협약지원 특별전문위원회(위원장 박영일)를 구성하고 30일 미래창조과학부 대회의실에서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에 출범한 특위는 ‘가이드라인’의 안정적 정착을 통해 공정한 협력연구 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구성됐다. 1차 회의를 통해 특위위원들은 '가이드라인' 추진현황을 설명 듣고, 연말까지 산학연 현장의 활용실태 분석 및 현장 의견수렴, 모범사례 발표 및 사례집 발간, ‘가이드라인’ 보완·발전방안 수립 등 운영계획을 확정했다.
특위 운영을 지원하고 있는 고기석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은 “최근 새정부의 창조경제 방향에 화답하는 대기업의 연구개발 투자확대 계획이 발표되는 등 민간부문의 협력연구 기회가 늘어날 것”이라며, “가이드라인이 잘 정착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연계개발(C&D)을 촉진함으로써 창조경제 시대에 필요한 창의적인 지식재산이 풍부히 확보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