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올해 6조9,400억원을 투입한다.
정부는 지난 5일 서울 정부종합청사에서 창조경제 실현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발표에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창조 경제를 달성을 위해 올해 6조9,40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며, 이를 시작으로 각 부처간 협력을 통해 “향후 5년 동안 일자리 65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했다.
창조경제 관련 올해 집행될 예산을 살펴보면, △창의성이 정당하게 보상받고 창업이 쉽게 되는 생태계 조성에 6,900억원 △벤처중소기업의 창조경제 주역화 및 글로벌 진출 강화에 3,700억원 △신산업·신시장 개척을 위한 성장동력 창출에 3조2,600억원 △꿈과 끼, 도전정신을 갖춘 글로벌 창의인재 양성에 1조100억원 △창조경제 기반이 되는 과학기술과 ICT 혁신역량 강화에 1조4,800억원 △국민과 정부가 함께 하는 창조경제문화 조성에 1,300억원이 소요된다.
특히, 성장동력 창출 예산 약 3조원이 소재부품분야 원천기술개발, 기계·제조분야와 ICT 융합촉진 등에 집중 투입될 것으로 알려져, 새정부의 소재부품, 로봇 등 신기술에 대한 정부의 높은 관심이 반영됐다.
한편, 정부는 창조경제 실현계획을 발표하면서 계획수립과정에서 각 부처가 제출한 과제의 소요예산을 합산한 규모가 40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신규과제가 많고 이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 등에서 신규추진여부, 예산규모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져, 예산 규모는 더욱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