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가 그동안 원재료조달 및 기술확보 등의 제약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NMP의 100% 국산화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연간 700억 원 이상의 수입대체효과를 얻을 것으로 전망된다.
SK에너지(대표 구자영)는 지난 2일 LCD 및 반도체 제조과정의 세정제로 사용되거나, 리튬이온배터리(LiB)의 전극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화학제품 NMP(N-Methyl-2-Pyrrolidone)의 국산화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현재 NMP 제조기술은 전세계적으로 소수 업체만이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 보유업체들이 라이선싱을 꺼리는 고급기술이다.
SK에너지는 지난해 4월 NMP의 주원료가 되는 부탄디올을 생산하는 공정을 완공 및 상업화함으로써 NMP를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갖췄다. 이후 NMP 제조에 필요한 자체적인 핵심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 진출을 선언한 것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SK에너지는 조만간 연산 2만 톤 규모의 NMP 제조시설의 건설을 시작해 2011년 완공해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갖춘 세계 Top 수준의 NMP의 생산 및 공급을 할 계획이다. 현재 NMP의 국내 시장 규모는 연간 1만5,000톤 수준이다.
SK에너지 관계자는 “부탄디올의 상업화로 NMP의 원료 공급 문제를 해결됐으며, 자체 기술로 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등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했다”라며, “이를 통해 원료인 부탄디올에서부터 완제품인 NMP에 이르는 수직계열화를 완성하게 된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