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의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다목적실용위성 5호가 오늘 밤 발사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김승조)과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발사 준비를 정상적으로 완료해 8월22일 한국시각 오후 11시39분 경에 러시아 야스니(Yasny) 발사장에서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지난 7월11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 안전하게 도착한 후 발사 리허설까지 순조롭게 진행을 마치고, 현재는 ‘드네프르(Dnepr)’ 로켓에 탑재돼 발사를 기다리고 있다.
현지시간으로 오전 10시에 열린 발사관리단(단장 미래부 양성광 미래선도연구실장)의 발사준비 종합점검회의에서는 발사 준비상황 및 현지 기상조건이 양호함과 발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과정을 확인했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발사 후 5년간 550km 상공에서 국내 최초로 영상레이더(SAR : Synthetic Aperture Radar)를 사용해 공공안전, 재해재난, 국토·자원관리, 환경감시 등에 활용될 고해상도 레이더영상을 공급할 예정이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는 발사 약 15분 후 로켓과 최종 분리된 후 약 32분 후에 남극에 위치한 트롤(Troll) 지상국과 첫 교신을 시도할 예정이며, 발사 후 5시간56분 후(한국시각 23일 오전 5시36분)에는 대전 항우연에 위치한 위성정보연구센터 지상국과 첫 교신을 하게 될 예정이다.
남극의 트롤(Troll) 지상국과의 교신 시에는 위치 추적이 용이하지 않아 위성의 궤도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으며, 항우연의 위성정보활용협력센터와 23일 한국시각으로 오전 5시36분경부터 교신을 할 예정이다.
오전 6시30분경(한국시각)에 비로소 위성의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최종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항우연은 예상하고 있다.
미래부는 다목적실용위성 5호의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발사관리단을 현지에 파견해 발사준비 상황을 종합점검하고 있으며, 발사장에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참여기관 등 기술진 약 20여명이 위성의 최종 발사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다목적실용위성 5호 개발사업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8년간 공동으로 추진한 것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관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주)대한항공 △두원중공업(주) △(주)한화 등 다수의 국내기업이 참여해 개발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