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의존하던 인공위성궤도 자료를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는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필호)이 우리나라 독자적으로 인공위성을 상시 감시할 수 있는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 시스템’을 개발해 11월12일 몽골 천문 및 지구물리 관측소에 첫 번째 광학 관측소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이에 현재 운영 및 폐기된 저궤도 인공위성의 궤도 정보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고, 한반도 정지궤도 영역을 상시 관측해 위성보유국으로서 기본적인 우주정보 획득 및 우주자산 보호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천문연구원은 지난 3년 동안 구경 50cm 광시야 망원경과 CCD카메라, 고속 위성 추적 마운트로 구성된 우주물체 광학 감시 시스템을 개발해 연구원 내에 설치 및 시험가동에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전자동망원경을 이용한 세계 최초의 우주물체 광학 감시 시스템으로, 국내 독자기술로 다중궤적 관측을 통한 우주물체 위치정보 획득 방법 실용화에 성공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특히 관측계획의 수립부터 관측결과 분석까지 모든 과정을 로보틱스와 자동화된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진행할 수 있어 오류가 최소화됐으며, 관측 자료의 수신·처리 및 관측소 운용 전 과정을 무인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어 24시간 우주 감시가 가능해졌다.
올해 11월 몽골 지역의 관측소 설치를 시작으로 카자흐스탄, 뉴질랜드 지역에 순차적으로 설치돼 글로벌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네트워크 구축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번에 확보된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 시스템 개발 기술은 공군의 ‘전자광학 위성감시체계 구축사업’에 직접 활용될 예정”이라며 “국가 우주위험대비를 위한 감시체계 구축 등에 활용돼 우주산업 기반을 확대하고 신산업 창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사업은 국가현안 해결형 사업(NAP) 일환으로 추진돼 우주물체 전자광학감시 시스템의 국산화 및 기술 확보를 위해 다양한 국내 중소기업이 참여했다.
㈜레인보우(KAIST 휴보랩 창업벤처)는 ‘마운트와 망원경 제어 기술’을 ㈜지솔루션은 ‘관측소 운영시스템’을 ㈜데코컴포지트는 ‘관측 돔과 캡슐형 관측소’ 개발을 담당해 핵심 우주기술을 확보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