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표준원이 무역기술장벽 및 불합리한 정부 기술규제를 개선하는 국가 기술표준 총괄기관으로 새로이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국정전략인 ‘창조경제’와 ‘국민안전’을 구현하고 부적절한 규제의 사전적 예방 등 국정과제를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그 소속기관인 기술표준원의 조직을 12일자로 개편하고 기관 명칭을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성시헌)’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이에 조직은 현행 4국 20과 체계를 유지하면서 우리 기업에게 손톱 밑 가시로 작용하는 불합리하거나 과도한 국내외 시험·인증 규제를 개선해 나가기 위해 ‘기술규제대응국’을 신설했다.
기술규제대응국에는 각 국이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강화하고 있는 시험·인증 규제 등 무역기술장벽으로 인해 우리 수출기업들이 겪고 있는 애로 해소를 담당할 ‘기술규제정책과’와 FTA 무역기술장벽 협상·이행을 전담할 ‘무역기술장벽협상과’를 신설했다.
또한, 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국내 유사·중복 기술규제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도입된 기술규제영향평가 업무를 담당할 ‘기술규제조정과’와 수출전략국에 우리 시험·인증체계를 이식하고 국내외 표준·인증 정보를 제공할 ‘기술규제협력과’를 새롭게 두었다.
기존의 ‘기술표준정책국’과 ‘지식산업표준국’으로 이원화된 표준 정책, R&D 및 집행 업무는 ‘표준정책국’으로 일원화됐다.
제품안전정책국에는 융·복합 신제품이 증가하고 온라인 쇼핑몰 등 유통시장이 다변화됨에 따라 시장 중심의 안전관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품위해·사고정보의 수집·분석 등을 전담하는 ‘제품안전정보과’를 신설했다.
적합성정책국에는 신제품인증(NEP) 및 품질경영 업무 등 기업지원 인증업무를 통합해 인증정책의 시너지 효과를 높였다.
한편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성시헌)은 12일 국가기술표준원 현관 앞에서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및 200여명의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새롭게 제정된 기관 로고를 발표하고 ‘국가기술표준원’ 현판식을 가졌다.
성시헌 국가기술표준원장은 “국가기술표준원은 1883년 구한말 전환국 소속 분석시험소로 출발한 130년 전통의 기관으로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국가의 표준, 제품안전, 시험·인증, 기술규제 정책을 총괄 관리하는 기관으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