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물자원공사와 조달청이 협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금속자원 비축과 정보활용에 나서며 중소기업들에게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안전행정부(장관 유정복)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조달청,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함께 ‘금속자원 비축사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현재 금속자원 개발은 산업부 산하 광물공사에서, 비축은 조달청과 광물공사에서 분담 수행하고 있다. 조달청은 구리·니켈 등 비철금속 6종과 리튬 등 희소금속 9개를, 광물공사는 희토류 등 희소금속 10종을 비축하고 있다.
이에 광물공사는 구리·니켈 등 해외자원 개발 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지만 이 금속들은 자체적으로 비축 할 수 없다.
또한 금속자원 수급현황과 시장정보 수집·분석업무 등을 기관별로 중복 수행하다보니 이로 인한 예산과 행정력 낭비의 소지가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양 기관은 해외자원개발과 비축사업이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광물공사의 해외개발 자원을 조달청이 비축·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한 해외자원개발계획·비축계획의 공유 및 비축대상품목의 조정, 각 기관 전문지식의 공동 활용 등 교류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양 기관별로 수행중인 해외자원개발, 비축, 시장동향, 금속자원 가격·수급 등 관련 정보도 상호 연계한다. 장기적으로는 관련 정보를 통합·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비축사업 관련 부처 간 협업사항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 세부 추진방안을 협의하기 위한 ‘금속자원 비축기관 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 국내외 수요·공급업체 및 해외 비축기관과의 교류, 국제회의·세미나 공동개최 등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광산개발→금속 추출→운송·유통→비축·판매’에 이르는 효율적인 공급체계가 구축되면 해외에서 개발된 금속자원을 시중가보다 저렴하게 공급해 국내 중소기업의 안정적인 조업을 지원하고 국내 물가안정 효과도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진현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은 “해외자원개발과 비축 연계, 정보·인력 교류 등 기관간 협력이 더욱 확대돼 금속자원의 안정적 수급기반 마련 및 물가안정 등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