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국제 정련납·정련아연이 공급부족 현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납아연연구그룹(ILZSG)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1월∼10월 국제 정련납 시장은 5만4,000톤의 공급부족을 보였다. 같은 기간 국제 정련납 재고는 3만4,000톤 정도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2013년 1월∼10월 국제 아연 수요는 공급을 2,000톤 가량을 앞지르며, 공급부족 현상을 보였다. 국제 정련아연 재고는 같은 기간 20만8,000톤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3년 1월∼10월 국제 납 광산 생산량은 전년동기 대비 3.7% 증가했다. 이 점은 호주, 중국, 인도, 터키 지역의 생산량 증대에 인한 것으로 같은 기간 캐나다에서 보인 생산량 감소를 상쇄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제 정련납 생산량은 중국, 이탈리아, 페루, 미국 지역의 생산량 증가에 힘입어 3.8%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제 수요량 측면도 5.4% 가량 증가했는데, 이는 유럽(4.2%), 미국(18.5%), 중국(5.1%), 한국(12.2%) 지역의 수요 증가의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2년 1월∼10월 대비, 2013년 국제 아연 광산 생산량은 1.6% 증가했다. 이는 중국, 인도, 페루, 미국 지역의 생산량 증대에 인한 것으로, 같은 기간 호주, 캐나다, 아일랜드, 멕시코 지역의 생산량 감소를 상쇄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인도, 일본, 한국, 페루지역의 정련아연 생산량 증가로 인해 국제 정련아연 생산량은 5.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제 정련아연 소비량은 7% 가까이 증가했는데, 이는 중국측 소비량 증대(12.9%)의 영향이 컸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또한 인도, 태국, 터키, 미국의 수요 증대 또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에 유럽지역의 수요량은 2012년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타나났다.
2013년 1∼10월, 중국 순 정련납수입량은 48만6,000톤을 기록하며 2012년 동기 대비 20.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