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와 방하남 고용노동부장관이 중소기업계의 주요 노동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중기중앙회는 7일 중기중앙회 이사회회의실에서 중소기업 대표 40여명과 방하남 노동부장관을 초청해 ‘고용노동부 장관 초청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통상임금 범위 확대 및 휴일근로의 연장근로 포함에 따른 근로시간 단축 등에 대해 중소기업계의 입장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
또한 중소기업계도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취약계층·중장년·경력단절여성 등에 대한 취업 지원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방하남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률 70% 달성은 정부의 주요 목표이고, 사회 모든 부문의 노력이 필요한 사항”이라며 “통상임금 산정범위 확대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중소기업들의 인건비 부담과 인력난이 심화되지 않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기업계의 애로를 청취할 수 있는 ‘정책협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중기중앙회와의 협력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날 간담회에 참석한 중소기업인들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주요 경영애로로 납품물량 및 납기일 준수 곤란 △구인난으로 인한 인력부족 △가동률 저하로 인한 생산차질을 언급하며, 근로시간 단축 개정법률의 적용시기를 기업 규모별로 차등화하고 연장근로 임금 할증률을 한시적으로 축소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외에도 △최저임금 지역별 차등화 등 안정화 노력 △청년층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중소기업 인식 개선 △외국인근로자 만기 대체인력 적시 지원 등 외국인력 활용에 대한 업계 애로사항에 대한 건의가 이뤄졌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서 중소기업계와 고용노동부는 현재 대법원 심리중인 사건이 휴일근로가 연장근로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판결이 날 경우 기업에 혼란을 초래한 통상임금 문제와 같은 상황이 재발될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예기간 부여 등 연착륙 방안을 병행하는 근로시간 단축 입법이 대법원 판결 전에 조속히 추진될 필요가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 하했다.
앞으로 만성적인 중소기업 인력난과 일자리 미스매치를 통한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 중기중앙회와 고용노동부의 상호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나가기로 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