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03-19 13:13:58
기사수정

글로벌 종합기업인 미츠이 물산이 3월19일 비철금속 원자재 관련 단신 소식을 전해왔다.

■ 구리
◇ 몽고 1∼2월 동정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한 12만2,600톤을 기록했다. 몽고의 구리 매장량은 1억1,700만톤으로 추정 되고 있다.

◇ 2013년 안토파가스타(Antofagasta)는 비용증가 및 매출 하락으로 순이익이 전년 대비 36%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반면에 순이익 하락에도 불구하고 주당 0.95달러의 배당을 실시 할 것이며 앞으로 순이익의 최소 35%를 배당으로 지급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인도의 최대 정련동 생산업체인 세사 스털릿(Sesa Sterlite)은 4월22일 부로 22일간 용광로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경쟁사인 힌달코(Hindalco)의 매출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세사 스털릿은 매월 3만톤의 정련동을 생산하며 그 중 절반은 중국으로 수출된다.

◇ 중국 1월 구리 생산량은 52만8,400톤을 기록해 YTD기준 7.4% 증가했다.

◇ 구리 수요자들의 구입 증가 및 칠레에서의 공급 차질로 유럽 현물 시장의 구리 프리미엄이 상승했다. 또한 LME 구리 3M 가격 하락 및 유로 강세로 유럽 수요자들의 구매가 이어지고 있다. 로테르담(Rotterdam) 프리미엄은 기존 120∼130달러에서 125∼140달러까지 상승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아시아 구리 수요자들은 현재 구리 수요 부진과 중국 신용 경색으로 추가적인 가격 하락을 기대하며 구매시기를 늦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중국 2월 주택가격 상승률이 2개월 연속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정부의 정책 변화와 수요 감소로 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1월에 주택상승률은 9.6%였으나 2월은 8.7%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 미국 2월 주택착공건수는 90만7,000건을 기록했다. 이는 3개월 연속 하락한 수치다.


■ 알루미늄
◇ 북미 2월 캔 선적량은 32만2,000파운드를 기록해 YTD기준 7.7% 감소했다.

◇ 북미 2월 강판 선적량은 60억730만 파운드를 기록해 YTD기준 0.69% 감소했다.

◇ CME는 5월5일부로 북미에서 인도 가능한 알루미늄 선물을 상장 한다. 이로 인해 LME 시장과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 앙리 배스(Henry Bath), 스케일 디스트리뷰션(Scale Distribution), 스테인웨그(Steinweg)는 CME의 알루미늄 창고회사 등록을 신청했다.

◇ 차이나 알루미늄 캔즈(China Aluminum Cans)는 중국내에서 9,610만개의 에로솔 캔(aerosol can) 매출을 올렸다. 이는 2013년 대비 16.6% 증가한 수치다. 반면에 해외 매출은 8,450만개로 오히려 작년 대비 19.2% 감소했다.

◇ 중국 1월 알루미늄 생산량은 1,890톤을 기록해 YTD기준 7.1% 증가했다.


■ 니켈
◇ 수년간의 예비조사를 통해 호주 다이렉트 니켈(Direct Nickel)은 인도네시아 안탐(Antam)과 합작해 제련소 건설 작업에 들어갔다. 제련소는 연간 2만톤의 니켈을 생산 할 것으로 보인다.

◇ 전세계 2013년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생산량은 수요부진에도 불구하고 7.8% 증가한 3,810만톤으로 집계됐다. 이는 중국의 생산량이 18% 증가한 1,900만톤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크림반도 사태로 러시아산 니켈 공급이 우려되자 니켈 시장은 투기세력으로 인한 강세장으로 돌입 한 것으로 보이고 있다.

◇ 러시아 최대 채굴기업이자 세계최대 니켈 생산업체인 엠엠씨 노릴스크 니켈(MMC Norilsk Nickel)의 전회장인 안드레이 클리샤스(Andrei Klishas)는 미국의 러시아 제재 조치 인사에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 납/아연
◇ 중국 1월 납 생산량은 33만6,000톤을 기록해 YTD기준 3.4% 증가했다.

◇ 중국 1월 아연 생산량은 41만톤을 기록해 YTD기준 3.0% 증가했다.

◇ 에코-뱃(Eco-bat)은 존슨 콘트롤(Johnson Control)간의 납 공급 관련 소송이 해결됐다고 전했다.

◇ 유럽 2월 자동차 판매량이 7.6% 증가했다. 이는 6개월 연속 증가한 수치이며 2달간 수요량이 186만대로 집계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1903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