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대표하는 소재부품 전문기업인 삼성SDI와 제일모직이 합쳐짐에 따라 세계적인 소재·에너지 토털 솔루션기업의 탄생이 기대되고 있다.
삼성SDI와 제일모직은 합병을 결의하고 이를 지난 31일 이사회에서 선언했다. 이번 합병은 삼성SDI가 신주를 발행해 제일모직의 주식과 교환하는 흡수 합병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삼성SDI와 제일모직이 각각 1대 0.4425482의 비율로 합작했다.
양사는 오는 5월30일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7월1일 합병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합병회사명은 삼성SDI다.
이번 합병으로 삼성SDI는 연매출 10조원 규모의 회사로 거듭나게 됐으며 합병 시너지를 통해 2020년에는 매출 29조원 이상의 ‘글로벌 초일류 소재·에너지 토탈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삼성SDI는 초일류 친환경·에너지 회사로 성장하기 위해 배터리 사업의 원천 경쟁력인 소재 경쟁력 강화가 절실했다. 현재 육성하고 있는 전기차용, ESS용 배터리 사업 등 핵심 신규사업을 위해 사업의 전 영역에서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구축 중이다.
삼성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수종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은 이번 합병을 통해 제일모직이 보유한 분리막, 유기소재 기술, 전자재료 등 다양한 소재 전문 역량으로 배터리 소재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삼성 SDI의 다양한 고객 네트워크와 마케팅 역량을 활용해 제일모직의 합성수지를 기존의 전자·IT 시장 위주에서 자동차용 시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일모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품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에 이어 자동차용 등 다양한 시장으로 확대하고, 삼성SDI의 디스플레이 전문 역량과 기술은 제일모직의 OLED 소재 등 전자재료 사업에 활용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양사의 강점 역량을 결합해 초경량 소재와 배터리 등 새로운 비즈니스 아이템 개발로 전기차 주행거리 향상 솔루션을 개발해 차세대 먹거리 발굴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제일모직 조남성 사장은 “양사의 핵심경쟁력을 통합해 초일류 에너지·소재 전문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말했다.
삼성 SDI 박상진 사장은 “이렇듯 이런 양사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합병을 통해 회사 외형과 사업 포트폴리오가 확대되면 안정적인 사업 운영 및 신규사업 추진 기반이 강화될 것”이라며 “운영적인 측면에서도 국내외 중복 거점·기능을 통합하는 등 자원 운영 효율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큰 기대감을 내비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