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과 군의 수요를 충족하는 헬기 개발을 위한 사업이 실시돼 항공산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3일 더케이호텔에서 방위사업청(청장 이용걸)과 공동으로 ‘소형무장헬기·소형민수헬기 연계개발 공동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사업설명회에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관련기관 및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 등 국내 체계업체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이번 설명회에서 민·군수 헬기의 연계개발 계획, 사업추진 일정 및 계약·협약조건 등 국책사업으로 추진할 동 사업에 대한 세부내용을 알림으로써 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소형무장헬기와 소형민수헬기의 연계개발 방안은 경제성과 기술성 등을 고려한 양 부처의 오랜 교감 끝에 도출됐으며, 제8회 항공우주산업개발정책심의회 및 제7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게 됐다.
소형민수헬기는 국내외 유수업체가 국제공동개발 방식으로 기술개발, 시험평가, 인증 등의 과정을 거쳐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1만0,000파운드(lbs)급 소형헬기를 2020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소형무장헬기는 민수헬기에서 先개발된 민군 겸용구성품을 활용하고 국제기술협력을 통해 무장·사격통제 체계를 통합해 2022년까지 개발하는 방안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개발사업은 수리온 개발사업 이후 한층 더 성숙한 헬기 핵심기술을 확보해 우리나라의 항공산업 수준을 업그레이드하고, 노후화된 군용 헬기의 적기교체 및 응급의료, 해상감시 등에 활용되는 민수헬기의 세계시장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와 방사청은 5월 말까지 국내 체계업체의 제안서를 접수해 각 사업의 기획 및 사업화 방안뿐만 아니라 양 사업의 연계개발방안 적정성 등을 양 부처가 공동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선발된 예비사업자(우선협상대상자)를 대상으로 협상 및 과제 기획(해외 파트너 및 국내 중소중견기업 포함) 등 사업자 선정단계를 거쳐, 10월 경 본 연구개발사업을 주관할 업체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민과 군의 수요를 충족하는 헬기를 개발하는 사업으로, 국비가 총 1조원 가량 투자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라며 “본 연계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양 부처는 국책사업단 구성·발족을 준비 중이며, 공정하고 투명하게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