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04-20 23:36:15
기사수정

▲ 최문석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통상기술지원실 실장.

■ 제도 시행에 반대하는 이유는?

한마디로 현재 기술력으로는 국내 자동차 시장에 불리한 제도이기 때문이다. 국토부에서 설계한 이 기준으로 보조금 구간에 들 수 있는 차종은 2가지 밖에 없다. 하이브리드, 소형 디젤차. 일본은 하이브리드차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우리나라나 미국, 유럽은 후발주자로서 배출물질이 있는 하이브리드 보다 배출물이 전혀 없는(Zero Emission) 전기차가 최종 목표다.

이것을 바라보고 개발을 해 왔는데, 배터리나 충전 문제로 출시가 지연되면서 기름값이 오르자 하이브리드가 급격히 각광을 받았다. 일본차가 인기를 끌면서 후발주자로 우리나라에서도 소나타나 K5 등 모델의 하이브리드 차를 내놓았다. 하지만 기술원천국가인 일본에는 뒤쳐진다.

환경부의 기준대로라면 일본 하이브리드 차량인 프리우스 HEV(77g/km), 시빅HEV (87g/km)만 보조금(2015년 기준 150만원)을 받을 수 있어 보조금을 못받는 한국 하이브리드 차량인 소나타 HEV(100g/km) 보다 구입가가 많게는 200만원까지 차이가 나게 된다.

소형디젤의 경우, 우리가 기술개발을 게을리 한 것처럼 어서 기술력을 올려 빨리 따라와야 한다는데, 불과 9년전까지 환경부에서는 배출물질이 많이 나온다는 인식 때문에 승용디젤을 허용하지 않았다. 규제가 풀린 것은 2005년 이후여서 이 역시 후발주자가 될 수 밖에 없었다. 100년동안 기술개발을 해 온 독일과의 승부는 초등학생더러 성인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해 오라는 식이다.


기준 충족 국산차 없어…수입차와 200만원 차이

국산차 경쟁력 악화 우려, 수정·유보 필요




■ 제도의 가장 잘못 된 점은 무엇인가

국산차를 위한 제도설계가 아니라는 점이다. 중립구간의 설계에 큰 무리가 있는데 애초에 스파크, 레이, 모닝 등 국민차가 중립구간에 들어가지 못한다. 규제 강화가 이뤄지는 2016, 2017년에는 이 차를 살 때 정부에 협력금을 내야하는 실정이다. 국민들에게 국산차를 타지 말라는 얘기밖에는 안 된다.

현재 프랑스만 협력금을 받아서 보조금을 주는 방식의 저탄소 협력금 제도를 시행중이다. 자국차가 소형차 위주의 산업이라는 분석을 배경으로 강력한 자동차 선진국, 독일에게 시장을 내주지 않기 위해서 자국산업을 보호하려고 규제를 편 것이다.

현 정부는 이 제도가 마치 우리나라의 대기질을 대단히 올려줄 것처럼 얘기 하는데, 이 제도가 효과적이라면 미국, 일본이 왜 시행하지 않겠냐. 각 나라마다 산업구조가 다르고 그래서 법도 다른 것 아니겠나. 현재 설계된 제도는 유럽차와 일본차만 혜택을 보는 식이다. 정부는 그간 펴온 정책을 생각해 달라.

■ 시행하기로 한 법을 없앨 수는 없을 것 같다. 어떤 방향으로 개정되길 원하는가?

이미 국내에서도 산업부에서는 만든 규정에 의해 올해 판매되는 차량의 80%는 연비가 17km/ℓ를 만족하거나 CO₂배출량이 140g/km을 충족해야 한다. 이는 미국의 2015년 규제예정치인 16.6km/ℓ보다도 높고, EU의 승용차는 현행 130g/km로서 우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내년부터는 기아, 쌍용 등 모든 판매되는 차들이 이 연비규제 또는 CO₂ 배출량 규제를 둘 중 하나 지켜야 한다.

이는 업계와 정부의 충분한 상의를 통해서 도출해 낸 타당성이 있는 규제다. 국내의 실정에 맞춰 끌어 올릴 수 있는 기술력과 세계 추세에 합치하는 방향이었던 것이다. 이 제도도 첫 해에는 다 맞추기 어려워 50%수준에서, 현재 80%, 2016년에는 100%까지 지켜내기로 약속을 한 것이다.

새로운 규제가 아니더라도 관리가 잘 되고 있으니, 전면적인 법 개정이나 도입 시기를 연기해 주기를 바라는 바이다. 선진국을 따라하려면 미국이나 독일에서처럼 자국의 연비 기술력에 맞춰 정책을 펴 주길 바란다.

■ 정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저탄소 협력금 제도가 수정없이 시행되면 가격역전 현상이 일어나 소비자들은 저렴한 외제차를 구매하게 되고, 세계 5위의 국내 자동차 기술은 그 싹이 다 잘리게 된다.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점유율이 14%인데 30% 되는 건 시간 문제로 보인다. 완성차가 안팔리면 중소 부품 업체들은 납품할 곳이 없어지고, 결국 그 피해는 영세업체들에게 고스란히 되돌아온다. 돈 많은 사람들이야 보조금 지급해 주는 비싼차를 연비좋게 타고 다니겠지만, 일반 서민들은 보조금 지급없는 국산차를 타면 그 피해가 결국 국민들에게 돌아간다. 이런 일은 산업 전반에 미칠 여파까지 생각하면 일어나서는 안될 일이다. 모두가 관심을 갖고 힘을 보태주길 바란다.

2015년부터는 탄소거래제도가 시행돼 공장에서 자동차 생산 시에 배출되는 CO₂를 정부에 돈을 내고 배출권을 사야한다. 연비-온실가스 규제와 탄소거래제도에 이어 저탄소 협력금제도까지 3중 규제까지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

우리 산업이 기술력을 가지고 더 성장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지원해주길 바란다.

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1958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