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1분기 신형 제네시스의 판매호조와 점진적인 시장 회복에 작년동기 대비 상승한 매출 실적을 보였다.
현대자동차는 24일 2014년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1분기 현대차는 매출 21조6,490억원(자동차 17조7,193억원, 금융 및 기타 3조9,297억원)을 기록해 전기 대비 1.3% 감소했지만, 전년동기 대비 1.3% 증가한 실적을 보였다.
영업이익은 작년동기 대비 3.7% 증가한 1조9,384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9.0%로 작년동기 대비 0.3% 상승했다.
반면에 경상이익 및 순이익은 환율 영향 등으로 작년동기 대비 각각 1.9%, 2.9% 감소한 2조 6,932억원 및 2조281억원을 기록했다.
판매 대수는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122만7,467대를 판매해, 작년동기 대비 4.8% 증가한 실적을 올렸다.
국내시장에서는 신형 제네시스의 판매 호조와 점진적인 시장 회복 등에 힘입어 작년동기 대비 4.5% 증가한 16만675대를 판매했다.
또한 해외시장에서도 총 106만6,792대를 판매해 작년동기 대비 4.8% 증가한 실적을 올렸으며, 총 매출액은 작년동기 대비 1.3% 증가한 21조6,490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원가율은 국내공장 가동률 증가 및 플랫폼 통합 효과 등으로 작년동기 대비 0.1% 포인트 감소한 77.9%를 기록했다.
영업부문 비용은 2조8,395억원으로 작년동기 대비 0.1% 증가했으나, 매출액 대비 비중은 작년동기 대비 0.2% 포인트 감소한 13.1%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작년 말 출시한 신형 제네시스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내수 판매가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브랜드가치 제고에 따라 해외 판매 또한 증가해 작년 동기대비 매출액 및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 동안 현대차가 질적 성장을 통한 내실 다지기와 미래 경쟁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해온 결과 어려운 경영환경 하에서도 차별화된 수익성을 실현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를 추진해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현대차는 향후 경영환경에 대해 자동차산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최근 원·달러 환율이 1,040원대 아래로 급락하는 등 환율 변동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만큼 2분기 이후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대외 환경은 더욱 어려워 질 것으로 내다봤다.
더불어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세가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미국의 출구전략 시행에 따른 신흥국의 금융 불안과 중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 등에 대한 우려로 향후에도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예상돼 시장 예측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엔화 약세에 힘입은 일본 경쟁사들의 해외시장 판촉 확대와 FTA관세 인하 등 가격 경쟁력을 강화한 수입차들의 국내시장 공세 등으로 인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하에서 현대차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질적 성장을 기반으로 더욱 내실을 다지고 수익성을 확보해 경쟁사와 차별화된 성과를 이뤄 나간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최근 출시한 제네시스와 쏘나타를 통해 판매 확대와 수익성 향상 모두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해외시장에서 전략 모델을 적기에 투입해 성장 모멘텀을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현대차는 FIFA 공식 스폰서로서 2014 브라질 월드컵 대회와 연계한 효율적 마케팅 활동과 철저한 품질관리 및 지속적인 비용 절감 활동을 통해서 판매 증대와 수익성 제고를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미래지향적인 기술 개발에도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특히 안전 성능과 차량 연비를 더욱 강화하고, 친환경 그린카와 첨단기술이 융합된 스마트카와 같은 혁신기술 개발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