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07-14 16:36:29
기사수정

▲ 미국의 유정용 강관 수입 및 한국산 수입비율(2010~2012년, 단위: kg, %).

세계 철강시장이 경기불황에 따른 수요감소로 불황의 터널을 지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철강업계도 보호무역 강화와 원화강세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12일 한국산 유정용 강관에 대해 지나치게 낮은 가격에 덤핑 수입되고 있다고 판단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대하이스코가 15.75%, 세아제강 등 8개 업체가 12.82%, 넥스틸이 9.89% 관세율을 부과 받았다. 미국 ITC는 다음달 21일께 최종판정을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한국 정부와 업체들은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한다는 방침이다

유정용 강관은 석유나 천연가스 시추에 쓰이는 파이프로 셰일가스 개발 바람을 타고 미국의 수입량이 2010년 보다 2배 가량 늘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유정용 강관 수입량의 24.2%(약 8억 달러)를 차지하는 최대 수출국이며 국내에서 생산하는 유정용 강관의 98.5%가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우리나라 업체들이 받은 반덤핑 관세율은 함께 피소된 인도, 대만, 베트남, 태국 등 8개국 제품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8개국을 모두 합한 수출액보다 더 크기 때문에 타격이 크다. 또한 향후 이러한 ‘무역장벽 쌓기’가 활성화 돼 우리 철강수출이 더 험난해질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글로벌 철강 과잉생산이 장기화 되면서 미국 철강기업과 정치권 인사들은 시장 점유율이 높은 중국, 한국 등 업체들을 강하게 견제하고 있다. 미국이 현재 한국산에 대해 부과하는 반덤핑 관세 12개 품목 중 8개가 철강제품이며 조사를 진행 중인 품목이 유정용강관을 비롯해 3개나 된다. 또한 한국산 강 못(Stell Nails)은 제소 중이다.

특히 지난 1분기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강관 수출의 약 70%를 미국이 차지할 정도로 의존도가 높아 한국산 강관제품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7월 현재 한국의 철강 및 금속제품에 대해 해외에서 규제가 발효 중이거나 반덤핑 조사가 진행 중인 건수는 57건에 달한다.

■원화강세에 저가 수입산 쏟아져 ‘설상가상’

2013년 하반기에 본격화되기 시작한 원/달러 환율의 하락세가 올해들어 더욱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6년만에 900원대 진입을 앞두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하반기 평균 1,087원을 기록하다가 올 1분기 1,069원으로 하락한데 이어 지난 7월2일에는 최저치인 1,007원을 기록했다. 원/엔 환율의 하락세는 더욱 커서 6월 들어 100엔당 900원대에 진입했다.

이로 인해 철강 수출업체들은 수출전선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급과잉으로 가뜩이나 중국에서 제품을 저가로 밀어내고 있는 상황이어서 가격으로는 경쟁을 할 수 없고 채산성도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주요 산업별 수출전망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 철강 수출액은 344억달러로 전년대비 6%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수요가 회복되고 있으나 2012년 대비 25억달러 적은 수치다.

내수시장도 저가 중국산 제품에 밀려들어오며 국내 유통가와 수입유통가의 가격차이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국내 철근(SD400, 10mm)의 유통가와 수입유통가격 차이는 지난해 7월 톤당 3만5천원이었으나 올 7월엔 9만원으로 격차가 크게 났다.

철강업계는 이와 같은 난제들을 기술개발과 협력을 통해 극복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 1분기 자동차, 조선, 에너지강관 등 고부가가치 전략 산업용 강재 판매 비중을 전체 51%로 높였다. 또한 수요처가 필요로 하는 자동차용 1.0GPa급 초고강도 복합조직강 개발, 고망간강을 활용한 LNG용 저장탱크 개발 등을 통해 수입대체는 물론 수출시장 개척을 모색하고 있다.

철강업계를 대변하는 한국철강협회는 모든 건설용 자재 품질관리 의무품목 확대 지정, 주요 건설자재 원산지 표기 등 정책 입안을 추진하며 국산 철강재의 우수성을 알리고 수요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유정용 강관시장을 20% 이상 점유하던 중국업체들이 지난 2010년 최고 99.14%의 덤핑 관세율을 받고 가격경쟁력에 밀려 몰락한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무역규제에 대한 민관의 공동대응과 기술개발 노력으로 불황의 파고를 헤쳐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089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