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10-01 15:57:26
기사수정

▲ 박상진 삼성SDI 사장(앞 왼쪽)과 빅샤오 美 GCN사 사장이 25MWh 상업용 ESS 공급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리튬이온 2차전지 분야 세계 1위인 삼성SDI가 전 세계에서 ESS(Energy Storage System, 전력저장장치) 시장규모가 가장 큰 북미 지역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SDI는 美 GCN(Green Charge Networks)사와 25MWh 규모의 상업용 ESS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ESS 25MWh는 약 1만 가구가 하루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으로, 북미 지역 내 상업용으로는 최대 규모의 공급계약이다.

이번 공급계약은 삼성SDI가 보유한 세계 1위의 2차전지 품질력과 안전성, 업계 유일의 無-리콜 기록을 미 GCN사 측이 높이 사 성사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SDI는 이와 같은 ESS 경쟁력을 바탕으로 현재 미국에서 상업용 ESS사업을 전개 중인 글로벌 메이저 업체들 중 GCN사를 포함한 다수의 업체와 계약을 체결했으며, 추가 수주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돼 미국 상업용 ESS시장에서의 리더십을 확고히 할 것으로 보인다.

GCN사는 향후 2년 간 삼성SDI의 ESS를 공급받아 미국 전역의 대형마트, 병원, 호텔, 학교 등의 상업용 시설에 설치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상업용 ESS는 낮 시간대 전력 사용의 피크치를 떨어뜨려 전기료의 기본 요금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개인 소득에 따라 소득세율이 다르듯 낮은 기본 요금을 적용해 전기 요금 전체를 떨어뜨리는 원리다.

특히 미국은 연중 최고 전력 사용량에 의해 기본 요금이 책정되기 때문에 전력 사용이 많은 빌딩이나 주요 상업용 건물에는 ESS가 필수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캘리포니아州와 뉴욕州의 경우 많게는 2,100불까지 ESS 설치비를 지원별첨2)하고 있어 전력요금을 낮출 목적으로 상업용 ESS시장이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

또한 일본의 시장조사기관인 B3 등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상업용 ESS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175%의 高성장세가 이어지면서 전체 ESS 시장의 30% 가량을 차지할 전망이다.

2020년 상업용 ESS 시장별첨3) 규모는 약 40억 불이다.

지난 25일 이번 공급계약 체결식 자리에서, GCN사 CEO인 빅 샤오(Vic Shao)는 “이번 계약을 통해 GCN은 자사의 고객에게 최고 기술의 ESS를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며, “이번 삼성SD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향후 미국 전력저장 시장 내 리딩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견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삼성SDI ES(Energy Solution)사업부장인 김우찬 전무는 “이번 계약은 미국 ESS 시장에서 리더십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삼성SDI가 보유한 세계 1위의 ESS 경쟁력과 GCN사의 우수한 전력제어 기술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미국을 넘어 글로벌 상업용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글로벌 ESS 시장 전망, 단위: 억달러.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202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