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시장 성장둔화에 따라 신성장동력으로 스마트워치가 각광받고 있다.
근래, 스마트워치 시장에 삼성·애플 등 IT 업체들이 대거 진출하면서 다양한 제품 출시와 함께 특허출원이 급증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 수요감소 및 수익성 하락으로 인해 IT 기업들은 새로운 수요창출을 위해 웨어러블 기기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그 중 스마트폰과 바로 연계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시장이 가장 ‘Hot’하다.
특허청(청장 김영민)에 따르면, 2011년 11건, 2012년 10건이었던 스마트워치 특허출원이 2013년 143건, 2014년 11월 현재 136건으로 전년부터 급증하고 있다.
기술분야별로,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서비스 분야가 36.8%로 출원비율이 가장 높다. 이는 스마트워치가 스마트폰에서 제공된 서비스를 연동해줄 뿐만 아니라 스마트워치만의 서비스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특히 혈압·맥박·심전도 등 생체신호를 측정해 스트레스와 생체나이를 측정하는 등의 헬스케어 및 체지방을 측정해 운동을 지도하는 피트니스 기능 그리고 골프스윙 측정, 칫솔질 가이드 등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워치의 탈부착 및 기능성 밴드에 관한 기술, 스마트워치의 움직임 인식을 통한 문자·터치패드·음성인식 입력기술 등 스마트워치가 가진 웨어러블 기기로서의 독특한 기술이 30%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과의 페어링, 저전력기술, 제어 등 웨어러블 기기 최적화 기술이 22%, 스마트워치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배터리, 메모리 등의 하드웨어 기술이 11.2%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스마트워치가 헬스케어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 기기인 것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헬스케어 부문이 미래 먹거리인 사물인터넷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스마트워치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허청 이동통신심사과장은 “스마트워치가 웨어러블 기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헬스케어 기능은 사물인터넷과 직결되고 의료산업과도 연결되는 만큼 스마트워치의 성장가능성이 클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