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와 산업부가 R&D 연구성과 질적 향상을 위해 발 벗고 나선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양 부처 차관(미래부 이석준, 산업부 이관섭)을 대표로 하는 ‘제5차 미래부-산업부 정책협의회’를 25일 개최했다.
정책협의회에서는 R&D 혁신에 대한 방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R&D 평가제도 개선, 사업화 활성화, 산학연 및 부처 간 협업 등 다양한 관점에서 양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미래부는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R&D 혁신 방안을 준비 중이다. 그동안 정부 R&D가 양적으로는 선진국 수준으로 성장해온데 반해, 질적 성과와 사업화 실적은 미흡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석준 미래부 제1차관은 “그간의 관행에 벗어나 우리의 R&D 체제를 근본적으로 혁신하자”며“ 이를 위해서는 R&D와 시장 간 간격을 좁히기, 대학·출연(연)·기업 간 협업 내실화, 우수성과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와 보상이 뒷받침 되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관섭 산업부 제1차관은 “R&D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는 시장 수요에 기반한 R&D로의 전환과 산업생태계를 고려한 민간과 정부간 R&D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며“기초·응용·개발 연구의 유기적 연계, 산·학·연 R&D 주체간 실질적 협력이 강화돼야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미래부-산업부간 정책협의회는 작년 6월에 출범해 이번이 5번째로, 양 부처 차관과 실·국장들이 만나서 칸막이를 허물고 창조경제, 미래성장동력, R&D 제도 등 각 분야에 대해 발전적인 협력방향을 논의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