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4-12-05 15:35:42
기사수정

특허청이 그간 쌓인 특허정보를 바탕으로 부품, 신재생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60여개의 미래 유망기술을 선정·발표했다.

특허청(청장 김영민)이 12월3일 서울 GS타워에서 R&D 부처·전담기관 및 산·학·연 관계자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특허관점의 미래 유망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부품, 신재생에너지, LED·광, 해상·항공 수송, 농림수산식품 등 5대 산업분야에서 향후 핵심 원천특허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은 총 60여개의 미래 유망기술들이 발표됐다.

주요 유망기술로, 부품 분야에선 △자율주행 지원 기술 △충돌 방지 시스템 기술 △전기차 전력 충전 기술 △플렉서블 전원공급 기술 △사물 인터넷 구현을 위한 거대 연결성 플랫폼 △3D 프린팅 레이저 가공 제어기술 △환경 오염원 감지를 위한 복합 센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광학 부품 △PMS 기술 △나트륨 이차전지 기술 등이 선정됐다.

신재생 에너지에선 △(태양광)실리콘 태양전지 초고율화 및 저가화 기술 △(태양광)건출 및 생활밀착형 태양광 응용 시스템 기술 △(태양광)차세대 박막 태양전지 고효율화 및 대면적 응용기술 △(풍력)부유식 해상 풍력시스템 △(풍력)ICT 기반 LCOE 저감기술(제어기술과 감시 및 출력제어 시스템) △(연료전지)막-전극 접합체 제조기술 △(연료전지)SOFC 고온 밀봉 소재 기술 △(바이오)목본계 바이오매스 전처리 기술 △(폐기물)교효율 폐기물 합성가스 정제 기술 △(태양열)부하 연계형 열에너지 융복합 기술 등이 선정됐다.

LED·광에선 △바사파이어(GaN, Si) 기판 및 에피기술 △비가시광(UV, IR) 및 나노 LED 기술 △플렉서블 광소자 기술 △LED 시스템 조명 △LED환경안전기술 △실리콘 포토닉스 △고출력 LD 및 광섬유 레이저 기술, 레이저 광이미징 기술 △메디바이오 광계측 기술 △Coherent 광통신용 부품 및 근거리 통신 연결 기술 등이 선정됐다.

특허청에서는 2012년부터 ‘국가 특허전략 청사진 구축사업’을 추진해 2014년까지 12개 산업분야에서 총 130개의 미래 유망기술들을 발굴했다.

유망기술은 전문가들의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특허청이 보유한 2억5천만건의 특허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분야별 100만건이 넘는 대규모 특허정보 분석을 통해 선정되고 있다.

기술선정은 일차적으로 산업분야별로 R&D부처의 기획전문가, 연구자, 특허전문가 등으로 전략위원회를 구성한 후 수백만건의 특허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특허기반 전략기술체계’를 도출한다.

그 다음 도출된 총 1,600여개의 핵심기술을 대상으로, 부상성, 원천성, 유망성 등 다양한 특허지표를 분석해 후보 유망기술군(513개)을 선별하고, 분야별 전문가의 검증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특허청은 선정된 미래 유망기술과 관련된 분석 결과를 정부 R&D 관련 부처, 전담기관, 출연연구소 등에 제공해 R&D 정책수립, 신규 R&D 과제발굴 등에 활용토록해 신기술개발에 공헌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에 선정된 미래 유망기술과 함께 513개의 후보 유망기술까지 분석한 종합보고서도 내년 2월에 발간 및 배포를 통해 기업 및 연구소의 신사업 아이템, 신규 연구과제를 발굴하는데도 기여할 방침이다.

김영민 특허청장은 “특허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미래 유망기술에 찾아내어 집중 투자함으로써 R&D 효율성을 제고하고 창조경제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본 청은 내년에도 반도체 등 6대 산업분야에 대한 청사진 구축을 추진해, 18대 전 산업분야에 대한 미래 유망기술 선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2013년 청사진 사업 결과를 활용한 산·학·연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4.9%가 매우 유용하다고 응답한 바 있다.

주로 특허동향을 파악해 R&D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경쟁사 정보와 부상기술을 바탕으로 신규 R&D 아이템을 발굴, 신사업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된 것으로 분석됐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303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마크포지드 9월
프로토텍 11
디지털제조 컨퍼런스 260
로타렉스 260 한글
이엠엘 260
3D컨트롤즈 260
서울항공화물 260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하나에이엠티 직사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생기원 3D프린팅 사각
아이엠쓰리디 2022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