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탄소산업의 허브가 될 국가주도형 지역특화산업단지가 전주지역에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17일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국토정책위원회를 열고 전주 팔복동·동산동·고랑동 일원 친환경첨단복합산업단지 153만3000㎡ 중 82만6000㎡(25만평) 부지를 탄소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 대상지로 최종 선정, 발표했다.
이 산단은 사업시행자인 LH공사가 내년부터 총 2276억원을 들여 탄소관련 기업, R&D(연구개발)시설 등 산업시설을 비롯한 주거, 상업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는 복합용지로 오는 2020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국가산단 사업대상지에 포함되지 않은 잔여부지(21만평)에 대해서는 향후 산단 입주 수요 증가와 주변 여건 변화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개발한다.
시는 이를 위해 내년에 전북도, LH공사, 전주시 등 관련기관들이 사업추진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뒤 신속하게 개발계획 업무에 착수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지역특화산업단지 입지 선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통해 전주(탄소) 등 전국 5개 후보지를 선정하고 제안서를 토대로 사업타당성 검증 절차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전주시의 탄소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하는 강력한 추진의지와 견고하고 탄탄한 산업 인프라에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사업타당성 검증 과정에서 탄소 관련 기업과 연구소 등을 수없이 방문·설득해 개발면적에 부합된 실수요 기업을 확보한 끝에 국가산단 지정에 필요한 충분한 요건을 갖췄다.
전주시는 탄소산업 지역특화산단 조성 시 탄소융복합재 등 탄소 관련기업들의 전주 이전에 따라 7000여명의 고용창출과 연간 1조7000억원 가량의 생산유발 및 부가가치 효과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기업의 입주 수요 추이를 지켜보면서 1~2년 앞당겨 공장용지를 적기에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락휘 전주시 신성장산업본부장은 “그동안 사업타당성 검증 과정에서 정치권 등과의 협치를 통해 친환경첨단복합산업단지 3단계 조성을 국가주도형 지역특화산단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면서 “앞으로 산단 조성에 필요한 준비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해 대한민국 탄소산업의 허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