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수요부진과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업계가 차별화된 제품개발과 협력으로 위기를 돌파하자고 다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철강협회는 지난 12일 포스코센터에서 ‘2015년도 철강업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이관섭 산업부 차관, 권오준 포스코 회장,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등 산학연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에 참가한 산업부 이관섭 차관은 신년사를 통해 “철강업계의 부단한 노력으로 우리 철강산업의 생산, 내수, 수출이 모두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정부 또한 우리 철강업계를 측면 지원하기 위해 美 유정용강관 反덤핑 판정에 대한 WTO 제소, 중국산 H형강 반덤핑 조사에 이어, 중국정부의 보론강 증치세 환급 폐지를 이끌어냈다”고 강조했다.
또한 올해 우리 철강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해 △고부가가치 생산구조 구축 △FTA 활용을 통한 해외시장 진출 및 수출확대 △친환경 공정기술 개발 등 환경이슈 대응 등에 업계가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권오준 회장은 “올해도 우리 철강산업의 수익개선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특히 중국의 성장속도 감소 및 구조개편에 의한 이른바 ‘New Normal’ 시대 진입은 인접한 우리에게 큰 시련이 될 것”이라며 “이에 우리 철강업계는 초장기 저성장 시대 도래에 따른 POST Mega Competition 시대에 대응해 철강산업 내에서 협력 뿐만 아니라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과의 융합적 협력, 부품사의 애로기술 해결을 위한 공동 마케팅 등 전략적인 상생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수입제품에 국내시장을 40%나 내주는 시점에서 저원가·고효율 생산체제 확립을 위한 본원적인 기술역량 강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강도, 고장력 철강재 등 안전한 철강재 공급과 해외 철강사와 차별화된 고유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