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시장 오세훈)가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친환경 자동차 정책이 현격한 대기질 개선이라는 효과를 내고 있다.
시는 경유차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줄이고, 서울의 공기를 OECD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해 CNG 버스 보급, 경유차에 매연저감장치 부착, LPG엔진개조 등 경유차 저공해 사업을 추진한 결과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 930톤을 저감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이날 서울시가 밝힌 1월부터 7월까지 서울의 대기중 미세먼지 변화추이를 보면 지난 2002년 88㎍/㎥, 2006년 68㎍/㎥, 2008년 59㎍/㎥, 2009년 58㎍/㎥로 서울의 대기가 매년 깨끗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유차 저공해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한 지난 2005년에는 이 기간 중 미세먼지 농도가 30㎍/㎥이하인 청명한 날이 3일이었으나, 올해에는 10일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시의 대기질 개선사업이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시는 자평했다.
이밖에도 시는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자동차 구매시 세제지원 등 각종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7월 출시된 LPi 하이브리드차의 경우 최대 310만원의 세제혜택과 연간 약 120만원의 차량 유지비 절감효과가 있어, 친환경 자동차 보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한편 시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적합한 친환경ㆍ고효율 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그린카 보급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오는 2020년까지 버스, 택시 등 대중교통 수단 100%를 그린카로 전환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