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산업의 창조경제화를 통한 가시적인 성과확산을 위해 올해 정부가 14개 시도와 함께 5,947억원을 투입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27일 제1차 지역경제위원회를 개최해 ‘2014∼2018년 중장기 지역산업발전계획’에 따른 연차별 ‘2015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의결하고 올해부터 본 사업에 들어가는 경제협력권사업 추진방안을 확정·발표했다.
이날 지역경제위원회에는 황규연 산업기반실장을 비롯해 비수도권 14개 광역지방자치단체 부단체장 등 70여명이 참석했다.
위원회는 지역주력사업, 경제협력권사업 등 14개 시·도에서 시행될 세부사업에 국비 4,361억원, 지방비 1,586억원 등 총 5,947억원을 투입하는 ‘2015년 지역산업진흥계획’을 의결·확정했다.
14개 시도 2015년 지역산업시행계획에는 △지역창조경제 활성화 △특화발전프로젝트 집중지원 △지역산업발전계획과의 연계추진방안이 포함돼 마련됐다.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도별 63개 주력산업과 시·도간 39개 협력산업에 ‘지역산업 창조경제 활성화 연계추진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창조경제혁신센터장이 지역사업기획에 직접 참여토록 하는 등 지역혁신기관과 창조경제혁신센터간 연계협력 기본틀을 구축해 기획·집행·성과확산 등 지역사업 추진 전 단계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가시적인 성과를 지역에 확산할 계획이다.
특화발전프로젝트 중점지원을 위해서는 2014년 9월 지역발전위원회에서 확정된 시도별 프로젝트에 산업당 50억원씩 총720억원을 기술개발과 기업지원에 중점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시도별 프로젝트는 △부산 영상 △대구 SW융합 △광주 문화콘텐츠 △대전 국방ICT △울산 친환경 전지 △강원 건강·생명 △충북 바이오 △충남 디스플레이 △전북 농생명 △경북 IT융복합 △경남 항공 △제주 용암수 등이다.
지역산업발전계획 연계를 위해서는 2014년 9월 확정된 ‘2014·2018 지역산업발전계획’의 2015년도 실행계획으로서 지역산업 중장기 발전전략을 충실히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중장기 발전계획에 근거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연계 추진과 세부운영 방안인 대상기업 설정, R&D 전략로드맵, 입지공급계획, 제도·기반 정비방안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의 창조경제 거점화’에 총 354억원을 집중 투자 하고, 지역산업진흥계획을 통해 세부 프로그램을 지원할 계획이다.
지역산업에 창의성을 부여하기 위해 경제협력권사업(154억원)과 지역주력사업(200억원)으로 창의융합형R&D, fast-tack, 창조혁신경진대회 등 세부 프로그램을 운영해 지역의 창의적 아이디어, 비즈니스모델이 신속하게 사업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시·도 주력산업 및 협력산업별 1산업 1창의융합과제를 적극 추진해 지역대표 제조업과 ICT, 지식서비스가 융합된 새로운 시장 창출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황규연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2015년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을 통해, 지역산업에 첨단기술·서비스를 융복합해 고부가가치화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창업·사업화로 연결하는 창조경제생태계 조성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