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이 부산물을 활용한 고기능성 첨단화학 소재 생산에 나선다.
롯데케미칼(대표이사, 허수영)은 12일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회의실에서 C5 모노머 분리사업에 대한 투자협약(MOU)을 전남도청과 체결했다고 밝혔다.
롯데케미칼은 고기능성 첨단화학 소재의 원료인 C5 모노머의 분리시설을 JSR(일본)로부터 기술을 도입해 여수산단에 건설한다.
C5 모노머 분리사업은 석유화학제품의 기초원료인 나프타(Naphtha) 분해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C5를 고부가 가치화하는 사업으로 세계적인 원료 경질화 경향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사업이다.
C5분리시설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는 전세계적으로 엑손모빌(ExxonMobil,미국)과 제온(Zeon,일본), JSR(일본) 사 등이 있으며, 국내에서는 여천NCC와 롯데케미칼이 C5분리사업에 진출하게 됐다.
또한, 롯데케미칼은 C5 유도체 사업 진출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롯데케미칼은 총 10만톤의 C5관련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연간 3만톤 규모의 이소프렌 모노머(Isoprene Monomer)와 2만5천톤 규모의 DCPD(Dicyclopetadiene), 4만5천톤 규모의 피피릴렌(Piperylene)을 각각 생산할 예정이다.
이 제품들은 타이어와 고기능성 접착제, 포장용 필름, 페인트 등에 사용되는 원료이며, 점차적으로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번 신규사업에 투입되는 비용은 약 1,400억원 수준으로, 해당 신규사업을 통한 고용 창출인원은 약 20여명이며, 2016년 상반기 상업생산 예정이다.
롯데케미칼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C5분리사업을 통해 부산물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산활동이 가능하게 됐으며, 이를 통해 롯데케미칼은 사업의 수익 포트폴리오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