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장기와 피부에 붙여 회복을 돕는 “세포 스티커” 제작 기술을 개발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서강대학교 신관우 교수와 하버드대학교의 바이오질병연구소가 함께 동물의 장기에서 세포를 추출해 배양한 결과, 세포가 그물망 위에서 정상적인 장기 조직 기능을 가지고 성장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는 대면적 단백질 그물망(protein network)을 조성해, 동굴의 장기세포로 실험을 한 후 세포가 정상 성장을 하는 것을 확인했는데, 이번 연구결과로 향후 인체 거부반응 없이 세포- 단백질 그물망을 스티커처럼 원하는 위치에 손쉽게 부착 시킬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현재 손상된 장기와 신경의 특정 부위에 세포를 자라나게 하여, 손상을 회복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보형물을 활용해 인체 거부반응이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온성 고분자로 세포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세포외막단백질)들이 자라는 위치와 방향을 정해주어, 단백질들이 스스로 균일한 그물망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하였다.
이 그물망 표면에 선택적으로 쥐의 심장에서 확보한 세포들을 성장시킨 결과, 그물망에서 성장한 세포들이 장기의 기능을 고스란히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신의 세포로 만든 “세포 스티커”이기 때문에, 향후 손상된 장기 혹은 신경세포 치료에 활용하면 기존 세포와 원활하게 접합하여 거부 반응이 없는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관우 교수는“지난 2011년에 시작된 연구가 오랜 연구과정을 거쳐서 결실을 맺게 되었고, 금년 6월부터는 하버드대학 연구진이 서강대학교로 파견되어, 본 연구를 이용한 피부재생용 세포스티커의 실용화 연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신관우 교수는 2011년부터 미래창조과학부의 기초연구사업을 통해 “인공세포 제작기술” 연구에 착수해 핵심기술을 확보하였고, 하버드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해 동물실험을 통해 기술 실증에 성공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 및 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결과는 신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지 5월 13일자 표지논문(Front Cover)으로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