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오랜 산고 끝에 연구개발 특구 유치에 성공해 농생명과 탄소 등 융복합 소재의 고부가가치 지식기반 산업구조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특구위원회(위원장 미래부장관 최양희)는 에서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안)에 대해 심의·의결을 받아 전북연구개발특구가 최종 지정되었다고 13일 발표했다.
전북연구개발특구 전주에 사업화촉진지구 9.9㎢를 비롯, 완주 융복합 소재부품 거점지구 4.5㎢, 정읍 농생명 융합 거점지구 1.5㎢ 등 모두 15.9㎢(483만평)에 조성된다.
‘농생명과 첨단소재 기반의 세계 일류 R&D 허브’라는 비전으로 ‘농생명융합산업’과 ‘융복합소재부품산업’을 특성화해 집중 육성하게 된다.
‘농생명산업 활성화’는 전통적 방식을 벗어나 발효 미생물소재, 종자육종, 바이오 융합, IT융합, 정밀농업, 스마트 농기계 분야 등 도내 국립 및 정부출연연구소와 연계해 생산성 향상 및 고수익 기반을 마련하는 추세여서 전북 농업에 큰 생명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탄소 등 소재부품산업 활성화’는 고기능의 탄소합소재부품, 나노 탄소소재, 고강도 합금소재, 인쇄전자 소재부품, RFT응용 생체소재 등 고부가가치 소재 및 응용부품 산업을 집중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특구지정 후에는 각종 세제혜택과 연구소기업창업, 첨단기술기업육성, 사업화등 집중 육성을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과 기술사업화를 위한 100억여원 이상의 자금지원이 매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전북연구개발특구에는 국립연구소 4개, 정부출연연구소 6개로 총 10개의 국공립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어 이곳 연구단지에서 나올 우수한 결과물에 안정적인 사업화지원이 마련되어 지역산업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는 새롭게 지정된 전북연구개발특구를 집중 육성하여 특화분야의 관련기업 유치와 신기술을 활용한 창업을 유도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목표다.
도는 이를 위해 연구기관의 개발기술 사업화를 지원할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전북본부 출범(하반기)과 연구개발 사업화 촉진, 기술사업화 종합 지원 One-Stop 서비스 제공 및 산학연간 교류의 장인 가칭)테크비즈센터(400억 규모) 건립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송하진 도지사는 이번 특구지정과 관련하여 “여러가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200만 전북도민의 지역발전에 대한 열망과 자신감이 전북연구개발특구라는 쾌거를 만들어 냈다”며 “정체된 지역경제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키고 전통과 첨단과학의 융합을 통해 ‘생동하는 전라북도’를 만들겠다.“고 다짐하면서 “전북특구 지정을 위해 적극 협조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