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및 ‘화학물질관리법’ 이행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중소기업 614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화평법·화관법 중소기업 이행 실태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법 시행에 대한 인지도는 작년보다 대폭 상승했지만, 법 이행시 느끼는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화평법에 대한 인지도는 작년 대비 51.5% 상승한 89.8%의 중소기업이 법 시행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반면에 ‘화학물질 등록자료 작성(55.3%)’, ‘화학물질 보고(40.5%)’ 순으로 부담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화평법을 실제 이행할 때 ‘복잡한 서류작성 절차 등 행정 부담(85.5%)’, ‘등록비·자료작성비·컨설팅 비용 등 경제적 비용 발생(52.6%)’ 등을 큰 애로사항으로 꼽았다.
제조·수입 화학물질의 등록의무 이행시 컨설팅 위탁비용 2,019만원을 포함해 업체 평균 총 1억 3,540만원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원활한 화평법 이행을 위해서는 △제출자료·서류 최소화(57.9%) △정부의 1:1 무료컨설팅 지원대상 확대 및 지원기간 연장(35.2%) △홍보·교육 확대(32.6%)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 등록 유예기간 연장(26.6%)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화관법의 인지도는 작년 대비 38.1% 상승한 78.1%의 중소기업이 법 시행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화관법 이행 의무 중 가장 크게 부담을 느끼는 업무로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배치·설치·관리 기준 이행(52.6%)’, ‘장외영향평가서·위해관리계획서 작성(40.0%)’,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및 진열·보관량 제한(34.2%) 기준 이행’ 순으로 파악됐다.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및 취급시설 배치·설치·관리기준 이행시 애로사항으로 ‘현실적으로 이행 불가능한 기준 적용(50.0%)’을 우선 꼽았으며, ‘기준 이행을 위한 신규 설비 투자비용 부담 발생(37.7%)’, ‘타법과 내용 중복 및 부처별 이중 검사·점검(33.2%)’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중소기업들은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및 취급시설기준 이행을 위한 신규 설비 개선비용으로 업체 평균 1억800만원, 장외영향평가서·위해관리계획서 작성을 위한 컨설팅 비용으로 평균 2,653만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원활한 화관법 이행을 위한 요구 대책에 관해서는 △물질 취급량(또는 기업규모별)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취급시설기준 등 화관법 규제 차등화(50.6%)를 가장 원했으며, 그 다음으로 △정부 부처간 화학물질 점검 행정 일원화(44.2%) △정부의 장외영향평가서·위해관리계획서 무료 컨설팅 지원대상 확대 및 지원 기간 연장(33.5%) 순으로 답변했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화평법·화관법 시행된 지 6개월이 지났으나 여전히 많은 중소기업이 새로운 법 체계에 적응하지 못한 채 경제적·행정적 부담으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 개선과 함께 중소기업 지원사업 확대가 절실한 만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프로필은 기사 하단에 위의 사진과 함께 제공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