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 사업시행자가 각자 추진해 오던 유비쿼터스도시(U-City) 방재서비스 개발의 가이드라인이 마련된다.
국립방재연구소(소장 이원호)는 U-City 서비스 방재분야의 체계적인 개발과 추진을 위해 U-방재City 서비스 모델 개발이 완료돼 도시침수, 배수펌프장, 도로결빙, 붕괴위험시설, 화재 안전관리 등에 활용될 계획이라고 지난 23일 밝혔다.
연구소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과 ‘자연재해대책법’ 등에 제시된 재난에 대한 71개 서비스의 분류, 개념, 기능 등을 정의한 ‘U-방재City 서비스 사전’을 개발했으며, 이중 국내에서 빈발하는 풍수해, 설해, 화재에 대한 5개 서비스 모델을 개발했다.
U-City 사업을 통해 행정·교통·복지·환경·방재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으나 방재서비스는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방범과 치안 중심의 서비스에 그치고 있으며, 국가재난관리 측면의 종합적인 방재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소 측의 설명이다.
U-방재City 서비스 모델의 원리는 각종 재난·재해에 대한 모니터링, 안전관리, 피해예측, 예보 및 경보, 상황관리 기능의 서비스로 구성되며, 재난유형에 따라 구체적인 서비스 모델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도시침수 통합방재 서비스 △배수펌프장 모니터링 및 원격관리서비스, △붕괴위험시설물 모니터링서비스 △도로결빙 모니터링 및 융설 서비스 △화재안전관리 서비스 등 총 5개의 U-방재City서비스 모델을 개발했다.
또 붕괴위험시설물과 화재안전관리 등 2개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울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테스트베드를 구축했다.
연구소는 앞으로도 실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조기감지, 자동점검, 이력정보 등을 토대로 재난현상에 대한 전조 관리와 신속 대응이 가능한 U-방재City 서비스의 테스트베드 운영과 시범사업 등을 통해 시스템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연수 소방방재청장은 “실시간 감시와 이력관리를 통한 재난전조관리시스템 구축과 U-방재City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재난으로부터 언제 어디서나 안전한 국토 및 첨단 방재시스템 구현을 구체화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