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5-08-20 17:09:01
기사수정

▲ 한국세라믹기술원 기업협력관에서 출품기업인 솔라세라믹 관계자가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경남 진주로 본원을 이전한 한국세라믹기술원이 경남권 세라믹 거점구축에 본격 나서고 있는 가운데 그 씨앗이 되는 벤처기업들이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미래 강소기업으로 꽃피울 준비를 마쳤다.

유망 세라믹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 벤처기업 육성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세라믹기술원 세라믹스 창업보육센터(cbi.kicet.re.kr)는 8월19일부터 킨텍스에서 열리는 ‘글로벌소재부품산업대전’에 기업협력관을 마련,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들과 ‘세라믹스 맞춤형 경영·판로 및 기술협력 지원사업’ 참여 기업과 함께 출품해 홍보 활동에 나섰다.

진주 창업보육센터는 6,000㎡ 규모로 건설되는 세라믹섬유실용화센터내에 조성됐으며 내달 총 12개 벤처기업 및 예비창업자들이 입주를 완료할 계획이다. 현재는 △㈜아이엔아이테크(대표 박영준, 유무기 복합소재 기반 필름형 플렉서블 에너지소자) △(주)악셀(대표 강진기, 고체레이저 및 Scintillator용 산화물 단결정) △비씨티코리아(대표 장우재, 치과 보철용 CAD/CAM 하이브리드 소재) △(주)페레코(대표 최영민, 산화철 및 슬래그 환원 열처리에 의한 철 및 철계분말) △기술융합협동조합(대표 김도현, 3D프린팅 기술 및 복합재료 융합 통한 레저용 고속레저보트) △유림에코(주)(대표 강훈석, 아크로라이트 도료) △예비창업자 강기환(SiC섬유 프리프레그) △예비창업자 하지영(기능성 바이오 세라믹 악세사리) 등 8개 기업 및 예비창업자가 입주를 마쳤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존에 경남도에 기반을 둔 기업이 6개, 기타 수도권, 부산 등 기업이 6개로 외부지역기업 유치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당초 진주시는 경남지역에서도 가장 제조업 기반이 취약하고 교통도 불편하다는 입지를 가지고 있어 창업보육센터의 기업유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컸다.

그러나 창업보육센터는 그간 기업지원을 통해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세라믹기술원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알고 있는 기업을 중심으로 홍보에 적극 나섰고, 기업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여러 이점에 대해 중점 설명해 입주를 완료시켰다.

진주 창업보육센터는 우선 임대료가 기존 서울 대비 1/3 이하 수준으로 초기 자본이 부족한 벤처기업의 부담을 줄였고, 기업이 R&D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박사급 인력과 첨단장비를 연결·제공한다. 또한 기업유치·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진주시와 경남도가 추진하는 지역기업육성사업과 연계해 시제품제작 및 R&D 사업과제도 지원한다.

박윤현 책임연구원은 “세라믹기술원 담임 연구원과 연계한 기술지원 수행과제에 대한 기업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며 “지방 이전에 따른 지자체 예산을 새로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지원이 가능하게 됐다”고 밝혔다.

창업보육센터의 최종 목표는 세라믹 강소기업을 육성해 진주지역에 융합세라믹산업군을 조성하는 것이다. 특히 국내에 유일한 세라믹섬유실용화센터가 구축돼 있어 이를 기반으로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이 3곳이나 입주했다. 이중 항공기용 치공구를 만들던 한 기업은 세라믹기술원의 지원을 바탕으로 소재사업도 시작했다.

박윤현 책임연구원은 “기술원과 창업보육센터가 당초 계획했던 외부기업 유치와 수요창출이 성공적인 첫발을 뗐다”며 “지금도 창업보육센터 입주 문의가 많은 만큼 향후 수요를 고려해 기 확보된 부지에 센터를 또 하나 건립하고 생산장비를 지원하는 계획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뛰어난 기술이 있어도 비용 및 인력 등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세라믹 벤처기업들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기술 및 마케팅 지원을 지속 펼쳐 진주시와 경남권이 새로운 세라믹산업 메카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세라믹기술원 기업협력관.

한편 이번 기업협력관에는 △(주)악셀(고체레이저 및 Scintillator용 산화물 단결정) △나노태(촉매 코팅 공기정화 산업용 필터 및 특수 무기재료, 코팅제) △(주)데크카본(SiC섬유, 탄소복합재료) △(주)엠에스라인(의료용 X-레이 장치 굴절·산란 감소장치) △(주)세라토크(플렉서블 패널 공정용 등 초음파 노즐) △(주)세일에프에이(에어필터·공조용필터·특수필터) △(주)솔라세라믹(FTO 글라스, 투명발열히터 적용 투명전도막, 발열유리) △(주)부일신소재(지르코니아 부품, 정밀세라믹 부품) △(주)엘리코(페라이트 코어) △(주)페레코(산화철 및 슬래그 환원 열처리에 의한 철 및 철계분말) 등이 출품해 자사의 제품을 홍보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amenews.kr/news/view.php?idx=2667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3D컨트롤즈 260
EOS 2025
프로토텍 2025
로타렉스 260 한글
엔플러스솔루션스 2023
엠쓰리파트너스 23
린데PLC
스트라타시스 2022 280
23 경진대회 사각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