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차세대 3D프린팅 기술개발을 위한 소재, 장비, 국내외연구기술 동향을 한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
3D프린팅연구조합은 오는 9월9일 KISTI 별관 3층 대회의실(서울 회기동 소재)에서 3D프린팅의 차세대 성장동력 및 기술 발굴을 위한 ‘3D프린팅 미래기술 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3D프린팅 기술은 미래 시장을 선도할 잠재력을 가진 기술로 주목받으며 세계적으로 각국의 산업육성, 기술경쟁이 치열하며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3D프린팅의 사업 적용 분야를 넓히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정부 및 지자체 주도의 많은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술은 선진기술 추격형 기술개발로서 세계시장에서 위상은 미약하다.
특히 금속분말을 이용한 메탈 3D프린터, 인쇄전자 분야의 3D프린팅기술 활용, 플라스틱 및 바이오 소재기술개발 등은 미래 산업 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예측되고 있어 이들 관련기술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이번 심포지엄은 3D프린팅 시장 흐름을 분석하고 기술 및 산업 동향을 파악함으로서 3D프린팅의 한국형 차세대 기술을 개발하고 응용하기 위한 계기를 마련하는데 개최 목적을 두고 있다.
심포지움에서는 △3D프린팅 산업의 미래와 R&D 동향 △메탈 3D프린터의 최신 동향과 기술전망 △ 바이오 3D프린팅 기술동향과 미래 활용 전략 △정밀 3차원 인쇄전자 기술과 전망 △ 3D 프린팅용 플랫폼 화학소재의 미래 △3D프린팅용 레이저 기술 동향 및 레이저 표면개질기술 등 6개의 주제에 대해 6인의 산학연 전문가가 주제발표할 예정이다.
3D프린팅연구조합 신홍현 이사장은 “이번 미래기술 심포지움을 통해 국내 3D프린팅 산업의 활성화와 미래발전을 위한 정보교류의 장이 될 것”이라며 “이들 미래 선도기술의 개발을 통해 자동차 및 항공 분야뿐만 아니라, 금형, 바이오 메디컬 등의 시장확대는 물론 미래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심포지움 참가신청은 조합 웹사이트(www.3dpro.or.kr)나 전화(055-282-6646)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