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수요부진 및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철강산업계가 IMF 이후 17년만에 민간협의회를 개최하고 공급과잉 해소방안 및 대정부 건의사항을 모았다.
한국철강협회(회장 권오준)는 27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철강협회 송재빈 상근부회장과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동부제철 등 10여개사 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민간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철강업계가 마지막으로 민간협의회를 개최한 것은 IMF 이후 철강업계 조기 정상화 및 구조조정 등을 논의한 지난 1998년 6월로, 지금의 불황이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철강협회는 ‘철강산업의 최근 동향과 사업재편 동향’ 발표를 통해 그간 철강업계가 현대제철의 현대하이스코 합병, 동국제강의 유니온스틸 합병, 세아베스틸의 포스코특수강(현, 세아창원특수강) 합병 등 자발적인 사업재편을 통해 6년간 990만톤(제강설비 기준)의 설비를 정리했다고 밝혔다.
또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저수익 및 부실자산 정리, 차입금 축소 등을 적극 추진, 업계의 부채비율이 2011년 74.9%에서 2014년 58.4%로 감소했지만 수요부진과 저가 중국산 수입확대로 인해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업계는 지난 7월 이현재 의원 등이 발의한 ‘기업의 사업재편을 위한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제정안에 맞춰 대정부 건의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철강업계 관계자는 “현재 배출권 거래제도 하에서는 사업장 한 곳을 폐쇄하고 다른 곳으로 생산물량을 집중하는 구조조정을 한 기업은 배출권 할당에 불이익을 받는 구조”라고 말하고 “기업 구조조정에 배출권 할당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상황을 특별법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밝혔다.
또한 “외국산 철강재 수입이 계속 늘어가는 상황에서 건설 현장에 품질 기준이 미달된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말하고 품질규격을 더 강화해서라도 부적합 철강재가 유통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해 달라”고 요청했다.
다른 관계자는 이외에도 “최근 심화되고 있는 불공정 수입확산에 대응하여 개별기업 차원에서 대처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고 하지만 반덤핑 등 무역구제조치를 포함한 종합적인 대책을 협회 및 정부차원에서 적극 검토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밖에도 업계 구조조정 관련 동종업계 모임이 가능하도록 인정해주고, 국가기간산업인 철강산업의 기술발전향상을 위해 R&D지원도 강화해 달라는 건의사항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