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석유화학 수출의 45%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시장에 FTA를 계기로 효과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산업-통상간 연계 강화를 위해 발족한 ‘경제통상연구’ 제9차 모임을 18일 서울 기술센터에서 개최하고 석유화학산업 현황 및 통상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모임은 우태희 산업부 통상차관보가 주재하고 한국석유화학협회, LG화학, 롯데케미칼, 금호석유화학, SK종합화학, 한화토탈, 한화케미칼 등 주요 업계 임원들이 참석했다.
현재 석유화학제품은 대표적인 무역수지 흑자품목으로 지난 2013년부터 매해 300억달러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으로 전체 수출의 45% 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도, 미국, 대만, 일본, 베트남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석유화학제품 수출 상위 10개국 중 중국, 대만, 일본, 홍콩을 제외한 6개국과 FTA가 발효 중이다.
석화제품 수출의 높은 중국 의존도로 인해 향후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주요제품 자급률 향상 등으로 수출 증가율 둔화가 우려되고 있다. 한중 FTA를 통해 중국으로부터 이온교환수지와 고흡수성수지 등과 같은 첨단 고부가가치 제품과 자급률이 떨어지는 기초원료인 에틸렌, 프로필렌 등 제품의 개방을 이끌어냈지만, 범용제품인 파라자일렌, 테라프탈산(TPA) 등은 중국이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신·증설을 하고 있어 양허를 제외하거나 부분 감축했다.
이에 정부는 한-중 FTA 발효를 통해 중국의 고부가가치제품 시장의 개방효과를 최대한 활용하는 한편, 범용제품의 경우 중장기 대응방안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일례로 우리나라가 생산하지 않고 있는 고부가가치 반제품을 일본, 미국 및 EU 등에서 수입한 후, 국내 완제품 생산공정을 거쳐 중국 시장에 맞는 맞춤형 소재로 공급하는 방안이 있다.
또한 반덤핑 조사개시 전 통보할 수 있도록 등 한중 FTA 산하 무역구제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중국의 수입규제를 완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태희 산업부 통상차관보는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여 한-중 FTA 활용, 신흥시장 개척, 고부가가치제품 개발 등 석유화학업계의 전략적 대응을 주문하고, 정부도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