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일상생활에서 겪는 문제나 어려움을 해결해 줄 연구개발 수행이 추진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어렵고 전문적인 과학기술을 국민들이 직접 느끼고 경험하고 다양한 연구를 필요로 한다는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가칭)국민생활연구군’을 도입한다고 21일 밝혔다.
그간의 과학기술은 기초연구, 원천연구를 중심으로 중장기, 중대형의 연구개발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국가 경제발전과 같은 거시적인 목표에 주로 기여해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연구개발은 환경문제, 삶의 질과 같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제로서 미세먼지 제거나, 식수원 녹조 문제 해결등의 시민 연구사업까지 확대되고 있다.
미래부는 이와 같은 국민 체감형 연구개발사업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 카테고리로서 ‘국민생활연구군’을 만들 계획이다.
국민생활연구군에 속한 각각의 연구개발사업은 기존의 기초연구, 원천연구와는 차별화되는 방식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하게 된다. 기초연구의 경우, 성과가 장기적으로 나타나는데 반해 국민생활연구의 경우 비교적 단기간의 성과 창출을 목표로 하므로, 기획부터 새로운 연구개발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개발 기획에 있어서는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보유 여부와 관계없이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일반 시민, 이해관계자 등이 연구개발 수요나 과제를 제안하거나,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제안된 과제 중 전문가, 일반 국민 등이 가장 필요로 하는 과제를 선정한다.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대학, 출연(연) 등 연구기관 외에 기업 등 다양한 주체의 참여도 이끌어내어 기술개발 성과의 활용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평가 과정도 국민 중심으로 진행된다. 해당 기술 분야 전문가뿐만 아니라 기술의 최종 수요자인 일반 국민도 평가자로서 기술개발의 성과를 직접 체험‧검증하는 등, 현장적용 중심의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 등이 검토된다.
연구개발의 결과는 생활 속에서 쉽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술개발 자체의 성과뿐만
아니라 국민 생활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처럼 국민생활연구군은 기획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연구개발 전(全) 과정에 일반 국민의 참여를 높여 연구개발의 필요성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연구개발 과정을 보다 투명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기존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연구사업 등을 국민생활연구군에 우선 포함시키고, 향후 국민생활연구군에 적합한 신규 사업 등을 발굴하여 시범적으로 운영해나갈 것”이라고 밝히며, “국민이 보다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국민이 만들어가는 과학기술’, ‘과학기술로 행복한 삶’을 실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