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섬유중소기업의 약 30%가 TPP타결이 국내 섬유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 보고 한국섬유산업의 발전을 위한 종합 대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지난 7일부터 8일까지 섬유중소기업 150곳을 대상으로 전화조사한 결과, 섬유중소기업의 22.7%가 TPP 타결이 한국경제에 ‘부정적일 것’이라고 응답한 했다.
이는 10곳 중 3곳(28.7%)가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걱정하고 있다는 뜻으로 ‘긍정적일 것’이라는 응답은 10.0%에 그쳤다.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현장에서는 TPP의 영향을 깊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기업도 56.6% 달한 것이다.
TPP 타결이 국내섬유기업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응답기업의 65.1%가 ‘TPP참여 동남아 국가 섬유기업들에게 거래처를 빼앗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엔저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TPP타결을 더해 ‘일본 섬유기업의 경쟁력 상승’을 우려하는 기업도 53.5% 달했으며 ‘누적원산지 기준 적용’을 걱정하는 기업은 32.6%로 나타났다.
향후 TPP 발효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88%가 ‘없다’라고 응답했으며, TPP 참여국인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로 공장을 ‘이전 하겠다’는 기업은 6.6%를 나타냈다.
TPP 타결과 관련하여 섬유중소기업이 정부에 바라는 사항으로는 55.3%가 ‘국내 섬유산업 육성을 위한 중장기 종합대책 마련’을 주문했고, 이어서 36.7%는 기존 FTA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관련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응답했다. 또한 응답기업 4곳 중 1곳에 해당하는 26%는 우리나라의 ‘조속한 TPP’ 가입을 주문했다.